"일부 산유국 금융위기 가능성…국내 영향 제한적"
"일부 산유국 금융위기 가능성…국내 영향 제한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DI 등 5개 연구기관, 韓 석유화학·조선업 등 경영악화 불가피

[서울파이낸스 이은선기자] 최근 국제유가 급락으로 러시아 및 베네수엘라 등 일부 산유국의 금융위기 가능성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산유국 금융불안이 미국의 금리 인상과 중첩될 경우 신흥국에서의 급격한 자본유출 등 위기 확산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같은 금융위기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으나, 석유화학·조선 등 일부 산업은 수익성 악화 심화와 더불어 수요 급감 등의 구조적 변화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와 산업연구원, 금융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5개 연구기관이 7일 2015년 제1차 경제관계장관회에 보고한 분석자료에 따르면 올해 기준 두바이유가는 배럴당 63달러 수준을 기록해 지난해(배럴당 97달러)대비 34.5% 하락할 전망이다.

리비아 생산 회복에 따른 석유수출국(OPEC)공급 증가와 세계경제 둔화에 따른 수요 둔화가 심화될 경우 전년대비 50%가량 급감한 연평균 배럴당 49달러까지 내려갈 수 있다는 예상이다.

▲ 자료=한국개발연구원

◇러시아 등 산유국 금융위기 조짐…신흥국 전이 가능성도

이같은 유가 급락은 특히 경상수지가 적자인데다 실질 민간신용이 큰 폭으로 확대된 일부 산유국과 신흥국에서의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러시아와 베네수엘라에서의 금융위기 가능성이 심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중동국가들은 막대한 규모의 국부펀드와 외화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유가 하락에 따라 실물경제가 위축되더라도 금융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러시아와 베네수엘라의 경우 석유산업 의존도가 높은 가운데 경기침체 심화를 지속하고 있어 유가 급락세가 지속될 경우 대외지불능력이 크게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러시아의 지난해말 기준 외환보유고는 약 4500억달러의 양호한 수준을 기록했다. 그러나 국가 총수출 중 원유 관련 수출이 49%를 차지해 유가 급락에 따라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2009년만에 최저 수준인 0.2%에 그쳤다.

재정수입의 45%가 원유 관련 수출이라는 점에서 재정악화와 실물경기 침체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이에 올해 성장률은 2% 하락 전환할 것으로 관측됐고, 국가부도사태에는 미치지 않더라도 국가신용등급의 투기등급 강등과 기업 및 금융기관의 부도 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산유국의 금융위기가 미국의 금리인상과 맞물려 국제 금융시장이 급격히 경색되는 경우 신흥국의 금융위기 확산 가능성도 높다. 특히 경상수지 적자국인데다 최근 민간신용이 빠르게 팽창한 아르헨티나와 터키, 인도네시아 등의 금융위기 전이 가능성이 확대된 상황이다.

◇韓 경제, 구매력 향상 효과…주요산업 구조변화 초래

이같은 금융위기의 확산은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를 야기해 우리 경제의 수출 산업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진단됐다. 다만, 우리 경제는 경상수지와 단기외채를 합한 총지불부담 대비 외환보유액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는데다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국이라는 점에서 직접적 금융위기 발현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특히 유가 하락은 실질구매력 개선에 따른 소비 확대와 생산비용 감소, 경상수지 흑자폭 확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유가 하락세가 진정되면서 연간 50달러대 초반에 머물 경우 우리 경제는 경제성장률 0.1%p, 물가상승률 -0.1%p, 경상수지 흑자 52억달러 확대가 추정됐다.

산업별로 보면 유가가 10% 하락하는 경우 전산업 0.67%, 제조업 1.04%, 서비스업 0.28%의 생산비 감소가 예상됐다. 동일한 기준이 유지될 경우 한국의 제조업 수출도 0.55%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석유화학 및 정유업의 경우 생산비용 감소 효과에도 불구하고 판매가격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관측됐다. 조선업의 경우도 최근 국내 빅3 조선업쳬가 주력하고 있는 해양플랜트 및 친환경선박의 수요를 상당부분 위축시킬 전망이다.

이외에도 신재생에너지업의 투자 위축과 전망이며, 자동차업의 친환경자동차 판매와 산유국 수출 부진 등의 악영향이 우려됐다. 친환경선박으로의 전환 유인을 악화해 해운업에 대한 구조 변화도 가져올 것으로 분석됐다.

KDI 관계자는 "유가 하락에 따른 산업별 대응전략을 마련하고 특시 석유화학과 조선, 해운업의 경우 적극적인 사업재편과 구조조정 노력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저유가로 인한 경제 전체의 구매력 증가분이 개별 경제주체에 배분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