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硏 "비은퇴가구, 노후자금 40%만 준비"
KB금융硏 "비은퇴가구, 노후자금 40%만 준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문지훈기자] 국내 비은퇴 가구의 종합 노후준비는 절반 수준이며 재무적 측면의 평균 노후준비가 4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비은퇴 가구의 노후준비 실태를 진단한 '2013 한국 비은퇴 가구의 노후준비 실태'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재무적 측면과 비재무적 측면을 모두 반영해 종합적 노후준비도를 계량화한 'KB노후준비지수'는 평균 50.3으로 나타났다. 비재무 준비지수(65.3)에 비해 재무 준비지수(40.3)가 낮아 노후생활에 필요한 자금준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노후준비 활동을 현재처럼 지속할 경우 월평균 노후생활비(227만원)의 40.3%(91만원)만 준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KB금융 경영연구소는 재무준비지수가 지난해 46.3에서 올해 40.3으로 크게 하락해 장기화되는 경기침체가 가계의 일상 소비생활뿐만 아니라 노후준비에도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했다.

또한 전체 비은퇴 가구의 31.1%가 재무준비지수 10 미만, 19.7%가 재무준비지수 90 이상에 집중돼 경제적 노후준비의 양극화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준비지수 10 미만인 가구의 비중은 지난해 21.8%에 비해 9.3%p 증가해 경제적 준비가 취약한 계층이 더욱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가구 형태에 따라서는 부부가구의 재무준비지수가 35.1로 독신가구의 58.2에 비해 23.1p 낮게 나타났다. 부부가구 중에서도 유자녀 가구는 무자녀 가구에 비해 재무준비지수가 22.7p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자녀의 양육, 교육, 결혼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정작 본인의 노후준비가 취약한 것으로 해석된다.

가구주 직업에 따라서는 공무원 가구의 평균 재무준비지수가 56.6으로 평균에 비해 월등히 높은 반면 자영업 가구의 평균 재무준비지수는 26.1로 직업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거주 주택과 같은 부동산 자산 활용이 노후준비 부족을 보완하는 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주택연금(역모기지) 등을 활용해 부동산자산을 노후자금으로 유동화할 경우 비은퇴 가구의 평균 재무준비지수가 40.3에서 50.5로 10.2p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효과는 부동산 보유율이 높고 노후준비가 부족한 50대 가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 은퇴가 다가오는 베이비부머 가구에서 특히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김희규 KB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준비기간이 많지 않은 장년층 가구는 보유 부동산을 노후자금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20~30대 가구는 고수익추구상품 투자 비중을 확대해 노후준비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회적으로는 소득과 자산의 양극화가 노후준비의 양극화로 심화되지 않도록 금융교육과 제도적 보완장치 등을 통해 최소한의 자발적 준비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