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박원순표 마을공동체' 사업 본격 착수
서울시, '박원순표 마을공동체' 사업 본격 착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일 종합지원센터 개소…총 1841억원 예산 투입

[서울파이낸스 성재용기자] 서울시가 올 하반기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주민 중심의 자치·문화·경제활동이 순환되는 마을공동체 975곳을 세우기로 했다. 이를 위해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구체적인 계획 수립과 재정을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총 1841억원의 대규모 예산이 투입된다.

11일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 은평구 통일로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이 같은 내용의 마을공동체 관련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먼서 서울시는 올 하반기 마을공동체 100곳을 시작으로 2014년 390곳, 2017년까지 총 975곳을 세우기로 하고 심사를 거쳐 1개 마을당 100만~600만원씩을 지원키로 했다. 이 같은 마을공동체 준비 예산은 총 53억원이 배정됐다.

마을공동체에는 '10분 거리 커뮤니티'를 표방한 주민 공간사업을 위해 5년 동안 총 718개 공공시설 유휴공간도 개방된다. 시는 이러한 공간을 활용해 마을예술창작소, 청소년 휴(休)카페, 북카페, 작은 도서관 등 공간을 조성키로 했다. 각 사업 예산은 249억원, 75억원, 100억원, 5억2000만원이다.

또한 시는 마을공동체가 단계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가장 기초적인 '부모 커뮤니티사업'부터 시작키로 했다. 부모 커뮤니티사업은 자녀문제 해결을 위한 부모모임 및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1개 모임당 500만원 내외로 지원되며 2017년까지 1010개 모임에 61억원이 지원된다.

특히 경제 활성화를 위해 협동조합적 원리를 적용한 '마을기업'에 대한 지원도 이뤄진다. 시는 올해 자치구별 1개소씩 25곳, 2017년까지 700곳을 지원한다. 마을기업은 5인 이상의 주민 출자로 구성된 협동조합적 정관을 가진 기업으로, 마을 공동체기업 플랫폼에 등록하고 창업 후 매출액의 1%를 공동기금으로 적립해야 한다.

더불어 마을공동체를 지원할 종합지원센터는 올해 마을활동가 양성과 마을계획 수립지원에 역점을 둘 계획이다. 센터에는 '마을 아카데미'가 설치돼 2017년까지 '마을활동가' 3180명을 양성한다. 특히 청년들을 중심으로 매년 총 50개 활동가팀을 꾸려 1년간 팀당 1000만원 상당의 사업비를 지원키로 했다.

박원순 시장은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는 사업 전 단계를 지원하는 중간 지원조직"이라며 "마을공동체 사업으로 이웃의 삶을 돌보는 문화를 조성하고 시민 중심의 자치·문화·경제활동이 순환하면서 자족 가능한 삶의 틀을 제시하겠다"라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