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횡령액, 7년간 1816억원···환수율은 12.4% 그쳐
금융권 횡령액, 7년간 1816억원···환수율은 12.4% 그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행권, 1509억8010만원···전체 83.1% 차지
"CEO 책임 묻는 강력한 제도개선 방안 필요"
은행 고객들이 국민·하나은행 등의 자동화기기(ATM)를 이용하고 있다. (사진=서울파이낸스)
은행 고객들이 국민·하나은행 등의 자동화기기(ATM)를 이용하고 있다. (사진=서울파이낸스)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금융권 횡령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는 가운데, 피해액 환수율은 10%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철저한 관리 감독과 함께 금융사 최고경영자(CEO)까지 책임을 묻는 제도 개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7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금융회사에서 횡령 범죄를 저지른 임직원 수는 202명, 이들이 횡령한 금액은 1816억590만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횡령 규모는 2017년 89억8870만원(45명), 2018년 56억6780만원(37명), 2019년 84억5870만원(27명), 2020년 20억8290만원(31명), 2021년 156억4860만원(20명), 2022년 826억8200만원(30명), 올해 580억7630만원(12명) 등으로, 지난해부터 급격히 늘어났다.

이는 지난해 우리은행 직원의 700억원대 횡령과 최근 BNK경남은행의 500억원대 횡령 사고가 반영된 결과다.

업권별로 횡령 임직원 규모를 살펴보면 은행이 113명으로 전체의 56%를 차지했다. 이어 보험 59명(29.2%), 증권 15명(7.4%), 저축은행 11명(5.5%), 카드 4명(2.0%) 등 순이었다.

횡령 금액 기준으로도 은행이 1509억8010만원(83.1%)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저축은행 169억2180만원(9.3%), 증권 86억9600만원(4.8%), 보험 47억4200만원(2.6%), 카드 2억6600만원(0.2%) 순이었다.

은행 중 횡령 직원이 가장 많았던 곳은 하나은행(21명),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우리은행(733억3110만원)이었다.

이처럼 거액의 횡령 사고가 이어지고 있지만 환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최근 7년간 발생한 횡령액 중 환수가 이뤄진 금액은 224억6720만원으로 환수율이 12.4%에 그쳤다. 특히 은행의 경우 환수율은 7.6%(환수금 114억9820만원·전체 횡령액 1509억8010만원)에 불과했다.

강민국 의원은 "지난 1년 동안 금융 당국이 연달아 금융권 내부통제 제도 개선안을 발표했음에도 오히려 횡령 사고가 더 증가했다는 것은 해당 대책들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라며 "금융권 횡령을 내부통제 문제로만 인식해 셀프 준법 경영 문화 정착에만 역량을 집중한다면 횡령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철저한 관리 감독과 CEO까지 책임을 묻는 강력한 제도개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