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대환대출, 한 달간 6700억원 이동···'은행 간 갈아타기' 92%
온라인 대환대출, 한 달간 6700억원 이동···'은행 간 갈아타기' 9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드사, 대환대출 플랫폼 속속 입점···2금융 대환 활성화 '기대'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들의 ATM기와 카카오페이 대출 비교 서비스 '대출 갈아타기' 화면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들의 ATM기와 카카오페이 대출 비교 서비스 '대출 갈아타기' 화면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기존에 받은 신용대출을 더 유리한 조건으로 갈아탈 수 있는 '온라인 대환대출 인프라'가 개시 후 한 달간 6700억원 가량의 대출자산이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대환대출은 은행 간 이동에 집중됐다. 대환대출 인프라가 고금리로 고통 받는 차주를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출시된 만큼 2금융권을 포함한 대출 전환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31일부터 지난달 30일까지 22영업일 동안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총 2만6883건, 6684억원의 대출 자산이 이동했다.

이동 유형은 은행 간 대출 이동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1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이동한 액수는 6161억원(2만2052건)으로 전체의 약 92%를 차지했다.

2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이동한 액수는 315억원(2352건)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2금융권에서 2금융권 169억원(2098건), 1금융권에서 2금융권 39억원(381건)이었다.

앞서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환대출 인프라 개시 초기 10일간 고객들은 기존 거래 은행에서 하나은행(1497억원), 토스뱅크(885억원), 우리은행(762억원), 카카오뱅크(469억원) 순으로 많이 옮겼다.

같은 기간 전체 대환대출 이동 금액은 3844억원이었고, 1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옮긴 액수가 3636억원으로 95%에 달했다.

다만, 다른 금융권 고객 유출을 우려해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에 다소 소극적이었던 카드사들도 최근 플랫폼 참여에 속속 나서면서 2금융권 대환대출 경쟁이 보다 활성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앞서 신한카드(카카오페이·토스·핀다), KB국민카드(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가 대환대출 서비스 플랫폼에 입점했고 현대카드도 이달 6일 핀다에 입점했다. 롯데카드도 3분기 중 대환대출 플랫폼에 입점을 계획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