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탄소포럼] "탄소배출권 시장 확대, 국내 실정 맞춰야"   
[에너지탄소포럼] "탄소배출권 시장 확대, 국내 실정 맞춰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제10회 에너지·탄소포럼
김세진 그리너리 책임연구원 발표
26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서울파이낸스 주최로 열린 제10회 에너지·탄소포럼에서 김세진 그리너리 책임연구원이 발표했다. (사진=이진희 기자)
26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서울파이낸스 주최로 열린 제10회 에너지·탄소포럼에서 김세진 그리너리 책임연구원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진희 기자)

[서울파이낸스 이서영 기자] "자발적 탄소배출 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확대시키기 위해 국내 실정에 맞는 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26일 서울파이낸스 주최로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제10회 에너지·탄소포럼'에서 김세진 그리너리 책임연구원은 이같은 말했다.

김 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은 규제로 인해 태동 시기가 늦은 편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탄소 거래 플랫폼 베라(Verra)가 2007년에 설립됐다면, 규제로 인해 국내에서는 팝플(POPLE)이 2021년 처음 만들어졌다. 

자발적 탄소 발행량도 지난달 5일 기준 베라는 11억6270만6361톤(t)인데 반해 팝플은 아직 5만1376t으로 현저히 적은 수준이다. 탄소 폐기량 역시 팝플은 1317t으로 집계돼 베라(6억1516만3663t)의 2%밖에 되지 않는다. 

김 연구원은 "국내외 해외 발행량의 차이가 향후 탄소 배출권 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뜻하기도 한다"며 "규제가 많았을 때 온실가스 감축의 중요성이 학습되면서 소비자 다양화로 인한 발행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과정에서 자발적 탄소 배출 시장에서 신뢰감이 필요하다는 것이 김 연구원의 의견이다. 올해 1월에는 베라는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외신과 비영리 단체의 조사에 따르면, 베라의 29개 프로젝트 중 8개만 유의미한 탄소 감축을 보이면서 탄소 크레딧의 실질적인 승인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해당 이야기가 해프닝으로 끝났지만 탄소 배출권 구매자 중에 이를 잘못 썼다가 그린워싱 우려를 이야기 하는 곳들도 생겼다"며 "자발적 시장에 대한 신뢰도와 무결함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구매자에게 리스크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기존 에너지절감 인센티브, 에코마일리지 제도 등과의 연계를 통한 시민참여 확대 △국내 자발적 크레딧 거래소 설립  △자발적 크레딧 유동화를 위한 금융 상품 도입 등을 제안했다. 

또한 향후 탄소 크래딧 시장에서 '제거 크레딧'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탄소 크레딧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해안과 갯벌 복원사업 같은 '제거 크레딧'과 산림 훼손을 방지하는 '회피 크레딧'으로 나뉜다. 지난해 기준 글로벌 탄소 크레딧 중 회피 크레딧이 78%, 제거 크레딧이 22%를 차지한다. 

김 연구원은 "현재는 사업 비용이 낮고 비교적 용이한 회피 크레딧이 주요하지만 향후 수요 측면에서의 선호로 인해 향후 제거 크레딧 또한 다수 발행될 예정"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