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아파트 시장, '서울 외 지역' 강세
올해 아파트 시장, '서울 외 지역' 강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시내 전경. (사진=노제욱 기자)
서울 시내 전경. (사진=노제욱 기자)

[서울파이낸스 노제욱 기자] 올해 아파트 시장에서는 서울 외 지역의 가격이 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직방에 따르면, 올해 1~11월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13.7% 상승했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인천이 23.9% 상승하면서 가장 높았고 △경기 22.1% △제주 17.9% △대전 14.4% △부산 14.0% 순으로 상승하며 전국 평균 이상을 기록했다. 서울은 7.8% 상승에 그쳤다. 

올해 1월~10월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59만700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3만8000건에 비해 14만건이 줄었다. 다만 2020년과 2015년(68만8000건) 다음으로 거래량이 가장 많았다. 수도권은 25만4000건, 지방은 34만3000건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지난해 같은 기간 36만9000건에 비해 11만건 이상 거래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고, 지방은 상대적으로 거래량 감소폭이 크지 않았다. 

직방 관계자는 "수도권은 서울을 중심으로 공급 확대 등 정부의 정책 효과가 영향을 미치면서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지난 13일 기준 올해 아파트 거래총액은 수도권 118조6000억원, 지방은 72조7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방은 지난해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거래액을 기록했지만, 수도권은 서울을 중심으로 거래시장이 다소 위축됐다.

직방 관계자는 "서울은 아파트 거래량이 감소하는 등 지난해 가격 급등 양상이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오피스텔 및 연립주택 등 비아파트 시장으로 수요가 이동하면서 가격 불안 양상이 나타나기도 했다"고 말했다.

올해 아파트 전세가격은 연말 들어 급등세가 완화됐다. 직방 관계자는 "계약갱신청구권 시행 1년차인 올해 3분기에 전세가격 불안이 나타났지만, 연말 들어서 가격 상승폭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2019년 4분기 계약된 전세계약 만료 물건이 시장에 나오며 가격 안정에 영향을 줬다는 설명이다. 

전년 말 대비 올해 11월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국이 9.3%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도별로는 인천이 15.8% 상승해 매매가격과 함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다음으로 △울산 13.9% △대전 13.8% △제주 13.3% △경기 11.6% 등의 지역에서 상승폭이 컸다. 서울은 6.2% 상승해 다른 지역에 비해 상승폭이 낮았다. 

올해 아파트 전세 거래량도 전국 44만5000건으로 지난해에 비해 줄어들었다. 그러나 지난해를 제외하고 다른 기간과 비교해서는 거래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10월 수도권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26만5000건, 지방은 18만건으로 조사됐다. 지난 13일 기준 전세 거래총액은 수도권 112조8000억원, 지방 39조2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3년 연속 100조원 이상의 전세 거래시장을 형성했고, 지방도 40조원에 가까운 금액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21만4381세대(330개 단지)로 조사됐다. 수도권 11만6963세대, 지방은 9만7418세대로 각각 전년 대비 21%, 25%씩 감소했다. 서울의 경우 강남, 서초, 송파구 등에서 정비사업이 완료된 주요 사업장 위주로 입주 단지가 많았다. 경기는 평촌, 평택, 화성 순으로 물량이 많았고 판교 대장지구, 과천 재건축사업 완료 단지 등이 입주했다. 지방은 대구, 부산, 강원, 세종에서 새 아파트 입주가 활발히 이뤄졌다. 

내년에는 총 26만1386세대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이는 올해보다 22%가량 많은 물량이 공급되는 것으로 수도권 14만2751세대, 지방은 11만8635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다. 수도권은 서울이 1만8148세대로 올해보다 14%가량 감소한다. 경기는 올해(8만328세대)보다 약 5% 늘어난 8만4487세대가, 인천은 올해(1만5486세대)보다 2배 이상 많은 4만116세대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내년은 아파트 입주물량이 올해에 비해 늘어나면서 전세시장 안정에 도움 줄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주택 임대차 계약갱신 종료 등은 내년 주택임대차 시장의 가격변수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