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툭튀' 관리물가…한은 금리인상 명분쌓기용?
'갑툭튀' 관리물가…한은 금리인상 명분쌓기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들 "관리물가 '보조지표'에 불과…금리정책 반영 문제 多"
사진=한국은행
사진=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갑툭튀(갑자기 툭 튀어나온)' 관리물가에 금융권 전문가들이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부진한 물가상승률의 주된 원인으로 관리물가를 거론하고 나선 것인데, 이마저도 금리인상을 위한 명분쌓기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시각이 나온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한은은 보고서를 통해 정부 규제를 받아 낮게 유지되는 관리물가를 제외한 2분기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2.2%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은 목표치(연 2%)를 상회하는 것이다. 관리물가를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은 2분기 1.8%를 나타냈다. 2016년 이후 지난해 6월까지 관리물가 상승률이 0% 내외에 머물면서 전체 물가를 제한했다는 게 한은 측 주장이다. 

지난달 말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을 보면 5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단 한번도 등장하지 않았던 관리물가(또는 관리품목)란 단어가 7월 의사록에서 9번 등장했다. 또 이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중 4명은 관리물가를 제외하면 물가는 이미 목표를 상회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간 이주열 총재가 금리인상의 전제 조건을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2.8~2.9%)를 이어가고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 근접할 때"로 강조한 것을 고려하면 향후 금리 상향을 위한 퍼즐이 맞춰진 셈이다. 그동안 경제성장세에도 물가가 좀처럼 오르지 않아 한은으로서도 긴축으로 방향을 틀 근거가 빈약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융권 전문가들은 관리물가라는 개념이 다시 나온 시점에 대해 의구심을 품고 있다. 2015년 처음 등장해 최근 2년간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관리물가를 한은이 갑자기 끌고나온 것이 금리인상 명분을 쌓기위한 포석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이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자료도 아닌 데다, 명확한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아 보조지표로만 사용되는 관리물가가 한은의 금리정책에 반영되는 점에도 부정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 올라 10개월째 1%대 상승률을 보이는 데 그쳤다. 

김지만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지난달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소비자물가의 상승을 견인하는 개인서비스 물가는 2% 중반을 유지'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도 온전히 수요 측 물가압력이라고 해석 하기보다는 최저임금 인상의 여파가 상당부분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하나금융투자에 따르면 소비자물가를 구성하는 460여개 품목들 가운데 관리물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을 주도한 것은 외식 및 개인서비스 가격인 것으로 드러났다. 외식 및 개인서비스 가격은 최저임금 16.7% 인상이 적용되기 시작한 올해부터 가파르게 상승해 작게는 3%대에서 인건비 비중이 높은 서비스업은 최대 10%까지 급등했다.

이미선 하나금투 연구원은 "인건비 상승이 가격에 전가돼 물가가 올랐다면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한은이 금리를 올린다면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기본 정책에 어긋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