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은행업종 전망] '유로존 위기부터 대선까지' 이슈 산적
[2012년 은행업종 전망] '유로존 위기부터 대선까지' 이슈 산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07년말 촉발된 미국발 서브프라임 사태가 채 아물기도 전에 유럽발 재정위기의 파고가 전세계 금융시장을 덮쳤다.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 등이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막대한 유동성을 풀어 경제난 해소에 나섰지만 위기의 진앙지는 미국에서 유럽 각국으로 확산될 조짐이다.

작금의 유럽발 재정위기의 심각성은 미국과 일본 등 세계 금융시장의 '리더'들이 위기해결을 위한 주도권을 사실상 상실했다는 데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상당수 국내외 경제전문가들은 유럽의 재정위기 여파가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EMU(유럽 경제통화동맹)의 위기가 그리스 등 일부 국가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실제 유럽 재정위기의 시발점이 됐던 그리스는 EMU 전체 GDP의 2%에 불과한 회원국이지만 전세계 시장이 그리스 디폴트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는 그리스를 포함한 주변국인 PIIGS(포르투갈·아일랜드·이탈리아·그리스·스페인) 재정위기 우려로 확산됐으며, 최근에는 독일과 프랑스 등의 국채금리까지 덩달아 급등하고 있다. 이에 전세계 금융시장은 유럽 정상들의 말 한마디에 연일 요동치며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의 변동성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결국 유로존 재정위기의 향방이 세계 금융시장은 물론 내년 국내 금융시장의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는 점은 이견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편집자주

상반기 유로존 위기 지속, 하반기엔 공공성 강화 목소리

[서울파이낸스 은행팀] 2012년 은행권을 중심으로 한 우리 금융시장의 전망은 다소 우울하다.

내년 상반기까지 유럽 재정위기가 여전히 발목을 잡고, 은행산업의 성장 한계로 인한 수익성 약화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더구나 하반기에는 대통령 선거 등 정치적 이슈로 인한 은행권 공공성 강화의 목소리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내년 순익 10% 하락 전망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8개 금융그룹과 은행권이 현대 건설 매각 이익을 포함해 13조5000억원(예상치)의 순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해 7조6000억원보다 83.7% 증가한 수준이다.

하지만 내년에는 은행권의 순이익은 올해 예상치보다 10%가량 줄어든 총 11조5000억원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올 하반기부터 이어진 가계부채 규제, 저축은행 부실 및 유럽 재정위기라는 부정적인 이슈가 대출 시장의 성장 제약과 가계와 기업대출 축소의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내년 은행권의 대출성장률이 총대출 기준 전년 대비 올해 7%에서 내년 6% 내외로 떨어질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서정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3.7%,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1%로 전제하면 가계대출 증가율은 7% 이내에서 관리되고 기업대출은 올해 중 대기업의 자금확보가 어느 정도 완료돼 증가율이 6%대로 떨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내년 상반기까지 유럽 재정위기의 여파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늦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해결책이 나오겠지만, 정책적인 문제로 글로벌 금융불안이 장기화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이고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럽국가 내 공조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유럽발 금융 불안은 장기화 될 수 있다"며 "이 경우 은행업종의 리스크 프리미엄이 높아지며, 실적 악화도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규제강화 기조, 공공적 역할 대두

이에 따라 은행권이 공격적인 영업보다는 보수적인 사업 전략을 구사할 것이라는 전망이 두텁다.

서정호 연구원은 "경제성장률이 둔화되고 가계대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은행들은 리스크 관리 강화를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부동산 시장의 부진이 지속되고 가계부채의 부실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 은행들이 신용위험 관리를 강화하고 올해 대손충당금을 선제적으로 행하면서 부실 완충력은 증가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바젤3 시행 등 유동성 규제가 강화되기 때문에 자산부채 구조개편도 주요 과제로 부각될 전망이다. 국내은행의 경우 자산건전성은 양호하지만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이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009년말 기준으로 LCR은 대형은행 76%, 중소형은행은 75%로, 글로벌 대형은행의 평균치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의 공공적 역할에 대한 목소리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내년 하반기에는 대통령 선거에 따른 정책적 영향도 불가피한데 은행 입장에서는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 연구원은 "총선과 대통령 선거 등 대형 정치적 이슈로 은행의 공공성 역할 요구의 목소리가 더욱 강조될 수 있다"며 "우리금융 민영화나 산은지주 민영화에서도 마땅한 의사결정자가 없어 좌초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성장 한계 직면..."결국 해외진출 나서야"

은행권의 수익구조 개선도 장기적인 과제다. 글로벌 금융불안이 수그러들더라도 은행권은 성장 한계에 직면하게 되기 때문이다.

가계대출 영업과 유동성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시중금리 상승 가능성이 낮은 상태에서는 은행의 수익창출 능력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것. 국내시장 확장보다 해외 진출로 신규 수익원 창출이 중요하다고 강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농협경제연구소에 따르면 한국 금융산업의 GDP(국내총생산)대비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6.6%로, OECD 평균치(6.64%)를 소폭 상회해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낮지 않았다.

특히 우리나라 은행의 경우, 절대적인 자산규모는 세계 주요 금융기관들에 비해 작지만 상위 3대 은행의 자산규모는 GDP 대비 71%로 국민경제 규모에 비해 큰 편이라 추가 성장을 위해서는 해외진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임일섭 농협경제연구소 거시경제센터장은 "국내 금융시장의 포화상태와 경쟁격화에 따른 수익률 하락, 저성장 단계로의 진입과 인구구조 고령화에 따른 금융자산 해외운용의 필요성 등도 해외진출의 또 다른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