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국채 '1호 판매사' 두고 경쟁 치열···업계선 '구관이 명관'
개인 국채 '1호 판매사' 두고 경쟁 치열···업계선 '구관이 명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증권사 "운용·판매 시스템 갖춘데다 전문성 높아"
은행 "전국에 퍼진 지점망···편의성·접근성 좋아"
여의도 증권가 (사진=서울파이낸스DB)
여의도 증권가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오는 6월께 출시될 '개인투자용 국채'의 1호 판매대행사 선정을 두고 은행과 증권사 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다만 최근 비이자수익 확대에 열을 올리다 ELS 등으로 대규모 손실을 냈던 은행보다는 전통적 판매 창구인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분위기다.

1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지난 14일 투자중개업 인가를 받은 국채전문딜러(PD) 중 판매사 입찰에 참여한 은행·증권사들을 대상으로 제안서 설명회를 진행했다.

기재부는 심사평가를 거쳐 이달 중 판매사 1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판매사는 기재부와 장기계약을 맺고 올해 상반기부터 2027년말까지 매년 1조원 규모의 국채를 판매하게 된다.

개인투자용 국채는 국민들의 장기 자산 형성을 목적으로 정부가 발행하는 저축성 국채다. 올해 1조원 내외로 발행될 예정이다.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 표면금리와 가산금리에 연 복리를 적용한 이자가 일괄 지급되고, 이자소득 분리과세(14%, 매입액 기준 총 2억원 한도)도 적용된다. 

금융사들은 1호 판매사 자리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상징성이 큰 만큼 은행과 증권이라는 업권간 경쟁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증권사는 이미 채권 운용·판매 역량과 시스템을 갖춘데다 전문성이 높다는 점을 앞세우고 있다.

개인투자용 국채 매입은 선정된 대행기관을 통해 매월 청약하는 방식인데, 증권사는 공모주 청약 등 모집 규모가 정해진 상품을 청약하는 시스템이 일반화 돼있다. 

또 노후 대비 등을 위해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자산 운용을 한다는 측면에서 채권을 활용해 다양한 포트폴리오로 구성할 수 있는 증권사가 더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성격이 비슷한 퇴직연금 적립금을 볼 때 2016년~2023년 기간 은행권이 70% 증가한 반면 증권사는 127% 증가하는 등 개인 투자자들의 선택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권은 전국에 퍼져있는 지점망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국민들의 자산 형성이라는 목적에 따라 편의성과 접근성이 좋아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최근 은행권에서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을 판매할 때 불완전판매 등이 발생했음에도 금융당국의 유권해석까지 받아가며 국채 판매사로 참여하는 것은 의문이라는 지적을 받는다.

앞서 은행권은 비이자수익을 높이기 위해 예·적금 외 투자상품 판매에 드라이브를 걸었다가 수차례 대규모 손실을 낸 바 있다.

2008년 환율 파생상품인 KIKO를 판매했다가 글로벌 금융위기로 20조원 규모의 피해를 냈고, 2019년 독일 국채금리 10년물을 기초자산으로 한 DLF를 판매해 3500억여원 수준의 가입자 손실이 발생했다. 라임·옵티머스 펀드 등도 은행에서 판매해 피해가 커졌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정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첫 개인투자용 국채 판매 대행기관 선정에는 채권 판매 노하우, 안정성, 시스템 외에 과거 사고 이력까지 종합적으로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