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폐기업, 최근 3년간 증가세···관리종목·실질심사 복합적 발생
상폐기업, 최근 3년간 증가세···관리종목·실질심사 복합적 발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기자본 대비 당기순손실 확대, 자본잠식···영업악화로 현금유출 경향
최대주주 변경·불성실공시법인 증가···경영 불안정·내부통제 부실 기인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서울파이낸스 남궁영진 기자] 상장 폐지 기업이 2019년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영업손실 지속 등 관리종목이나 횡령·배임 혐의 등 실질심사대상 지정 사유가 연쇄·복합적으로 발생했고, 이후 3년 이내에 상장폐지에 이르는 경향을 보였다.

금융감독원은 2017년 이후 상장폐지된 75개 기업을 대상으로 상장폐지 전의 재무적·비재무적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상장폐지 기업은 2019년 4곳에 불과했지만, 이듬해 15곳으로 급증했고, 지난해 20곳으로 늘었다. 올해 6월 말 현재 9곳으로 집계됐다. 최다였던 지난해의 경우 횡령·배임혐의(3사) 등 실질심사에 따른 상장폐지가 증가했다.

사유별로 보면 감사의견(비적정) 등 형식요건에 따른 상장폐지(59사, 78.7%)가 실질심사에 따른 상장폐지(16사, 21.3%)의 3.7배 수준이었고, 전체에서 '감사의견 비적정' 사유가 과반 이상(44사, 59%)을 차지했다.

'감사범위제한에 따른 감사의견거절'(형식요건)이나 횡령배임혐의·불성실공시 등(실질심사)과 같이 회계·경영투명성과 관련된 사유에 의한 상장폐지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또, 대다수 기업(75사 중 74사)은 여러 가지 관리종목·실질심사대상 지정 사유가 연쇄·복합적으로 발생했고, 관련 사유 최초 발생 이후 3년 이내에 상장폐지에 이르는 경향을 보였다.

상장폐지 기업의 재무적 특성을 보면, 자기자본 대비 대규모 당기순손실 규모가 상장폐지되기 5년 전 25.2에서 1년 전 107.5%로 4배 이상 급증했다. 이러한 이러한 결손누적·확대로 인해 자본잠식(부분잠식 포함) 상태에 직면하는 기업 수도 8곳에서 43곳으로 5배 이상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영업악화로 인한 지속적인 손실에 더해 타법인주식·채권·대여금 등의 자산과 관련한 대규모 손상·대손·평가손실 등 비용도 증가한다"며 "이에 따른 자본잠식 심화를 모면하기 위해 대규모 자본확충(유상증자 등)이 수반되지만, 경영・재무상황 악화에 따른 자금조달능력 저하 및 투자 기피·위축 등으로 그 규모는 점차 축소된다"고 설명했다.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현금흐름은 유상증자 등 재무활동으로 조달한 현금유입액(+)을 타법인주식·대여금 등 투자활동과 영업악화에 따른 영업활동 현금유출액(-)에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자금조달 증권종류를 보면, 주식관련사채(CB·BW 등)와 주식(유상증자)을 대규모로 빈번하게 발행하는 반면, 일반사채의 발행은 미미했다. 주식관련사채와 주식의 발행 건수(합산)는 5년 전 114건(53건·61건)에서 2년 전 193건(107건·86건)으로 상장폐지연도에 근접할수록 점차 증가하다가 투자자들의 기피·외면으로 자금조달의 한계에 직면하게 됨에 따라 1년 전 114건(55건·59건)으로 감소했다. 

상장폐지 기업의 비재무적 특성을 보면, 최대주주변경 관련 거래소 공시가 빈번하고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기업의 경영안정성과 밀접하게 연관됐다는 분석이다. 최대주주변경 공시는 5년 전 15사에서 23건이 발생한 후, 1년 전 35사에서 78건 발생하며 증가하는 등 상장폐지연도에 근접할수록 증가했다.

불성실공시법인 지정(거래소)도 빈번하고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기업의 인력·조직(의식・태도・전문성)과 내부통제 부실 등에 기인했다.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은 5년 전 13사에서 18건 발생 후 1년 전 31사에서 52건 발생으로 증가하는 등 상장폐지연도에 근접할수록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업공개(IPO) 등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과 참여가 증가한 가운데 최근 고금리 등 영향으로 상장기업들이 자금조달 등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투자자들의 보다 현명한 투자판단이 요구된다"며 "최근 상장폐지 사유의 현황과 추세를 고려할 때 상장기업의 단순 외형상 계속가능성뿐만 아니라, 실질적 측면의 회계·경영투명성에 대해서도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투자자들은 상장기업이 금융감독원(DART) 및 한국거래소(KIND)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공시한 사항 등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