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로 거래절벽 심화···1월 주택매매량 전년比 54%↓
대출 규제로 거래절벽 심화···1월 주택매매량 전년比 5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시내 전경. (사진=노제욱 기자)
서울 시내 전경. (사진=노제욱 기자)

[서울파이낸스 노제욱 기자] 정부의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절벽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총 4만1709건으로 전년 동월(9만679건) 대비 54% 감소했다. 전달(5만3774건)과 비교하면 22.4% 줄었다.

주택 매매량은 시중은행들이 신용대출 한도를 '개인 연 소득 범위 이내'로 조이기 시작한 지난해 9월 8만2000여건을 기록하며 증가세가 꺾인 데 이어 10월 7만5000여건, 11월 6만7000여건, 12월 5만4000여건 등으로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량은 4831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0.6% 감소했고,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1만6209건) 전체로는 65.6% 줄었다. 같은 기간 41.4% 감소한 지방(2만5500건)과 비교하면 수도권의 감소폭이 더 크다.

(자료=국토교통부)
(자료=국토교통부)

지난달 전체 매매량을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가 2만4465건으로 전월보다 19.7%, 지난해 같은 달보다 62% 각각 감소했다. 아파트 외 주택은 1만7244건으로 전월 대비 26%,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34.5% 감소했다.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지난달 총 20만449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과 비교하면 5.1% 감소한 것이고,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13.9% 늘어난 규모다.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5.6%로 지난해 같은 기간(41%)과 비교해 4.6%포인트(p) 높아졌고, 최근 5년 평균(41.1%)과 비교하면 4.5%p 늘어난 수준이다.

주택 인허가 물량은 전국 기준 3만9614호로, 지난해 1월과 비교해 51.3% 증가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5164호로 1년 전보다 24.7% 늘었고, 지방은 2만4450호로 74.4% 증가했다. 서울만 놓고 보면 지난달 인허가 물량은 3790호로 40.6% 증가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만3521호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1.5% 증가했고 아파트 외 주택은 6093호로 8.3% 감소했다.

지난달 착공한 주택은 전국적으로 1만8848호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6% 감소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277호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40.4% 줄었고, 지방은 8571호로 20.1% 감소했다.

아파트 착공 실적(1만3504호)은 1년 전보다 40.1% 줄었고, 아파트 외 주택(5344호)은 1.8% 감소했다.

지난달 전국의 공동주택 분양 물량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47.5% 증가한 1만9847호로 집계됐다. 이 중 수도권은 같은 기간 52% 늘어난 1만3110호, 지방은 39.5% 증가한 6737호로 나타났다.

일반분양은 1만6490호로 전년 동기 대비 42.7% 증가했으며 임대주택은 1526호로 142.2% 늘었다. 조합원분은 44.4% 증가한 1831호로 집계됐다.

주택 준공 실적은 전국적으로 지난달 총 2만1308호로 전년 동기 대비 36.4% 줄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1만3319호로 41.7% 감소했고 지방은 7989호로 25.2% 줄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1만3347호)가 1년 전보다 45.2% 줄었고, 아파트 외 주택(7961호)은 13% 감소했다.

(자료=국토교통부)
(자료=국토교통부)

한편, 지난달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전달보다 22.7% 증가한 2만1727호로 파악됐다. 수도권 미분양은 1325호로 전월 대비 12.2% 줄었으나, 지방은 2만402호로 25.9% 증가했다.

건물이 완공된 뒤에도 주인을 찾지 못하는 '준공 후 미분양'은 7165호로 전월(7449호) 대비 3.8% 감소했다. 전체 미분양 물량을 규모별로 보면 85㎡ 초과 중대형이 1424호로 전달보다 39.7% 증가했고, 85㎡ 이하는 2만303호로 21.6% 늘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