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안정보고서②] 저소득 차주 LTI 328%···3040 부채비율 급등
[금융안정보고서②] 저소득 차주 LTI 328%···3040 부채비율 급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소득 차주 LTI 전년比 15.5%P↑···중·고소득 2배 수준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가계대출 차주의 소득 대비 부채비율(LTI)상승에도 불구하고 대출금리 하락과 대출만기 장기화 등으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소폭 하락해 아직까지는 가계부문의 채무상환능력 저하 정도가 당초 우려만큼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경기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가계부채의 빠른 증가세가 지속될 경우 채무상환능력이 악화될 가능성아 았다는 지적이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한국은행이 24일 내놓은 '12월 금융안정상황 보고서' 자료를 보면,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리거나 외상으로 신용·할부구매를 한 대출 차주의 LTI는 3분기말 평균 225.9%를 기록했다. 지난해말보다 8.4%p 상승한 수치다. LTI의 구간별 분포를 보면, 소득 대비 부채 부담이 비교적 적은 LTI 100% 미만인 차주 비중이 2019년말 50.0%에서 올해 3분기말 48.3%로 소폭 줄어든 반면, LTI 300% 초과 차주 비중은 22.3%에서 23.6%로 약간 늘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250.6%)의 LTI가 여전히 가장 높지만, LTI 상승 속도는 30대 이하(221.1%)와 40대(229.4%)에서 가장 빨랐다. 두 연령층에서 올해 들어서만 LTI 비율이 각 14.9%포인트, 9.9%포인트 뛰었다. 소득수준별로는 저소득 차주의 LTI(328.4%)가 가장 높고 전년말 대비 가장 큰 폭(15.5%p)으로 상승했다. 중소득은 8.6%p, 고소득은 7.1%p 각각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거의 두 배 수준이 불어난 것이다. 취약차주의 LTI가 246.3%로 전년말(237.7%)보다 상승(8.6%p)했으나 저소득층의 LTI(328.4%)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이는 취약차주 중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인(7~10등급) 차주 수의 비중이 52.9%에 달하고 차입제약 등으로 이들의 LTI(142.8%)가 크게 낮은 데 주로 기인했다. 

전체 차주의 DSR은 35.7%로 2018년말(39.6%) 이후 하락하고 있는데 이는 대출금리 하락,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대출만기 장기화 등에 따른 것이다. DSR 하락폭(-3.9%p)에 대한 기여도를 요인별로 살펴보면, 대출원금 증가 +3.6%p, 평균만기 장기화 -3.6%p, 대출금리 하락 -1.9%p, 소득 증가 -2.1%p 등으로 나타났다.

최근 DSR의 변동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18년 이후 모든 연령대에서 낮아진 가운데 특히 30대 이하(35.6%)의 하락폭(-4.7%p)이 크게 나타났다. 30대 이하의 경우 전세자금대출 비중(주택관련대출 중 33.7%)이 여타 연령대(10.1%)에 비해 높은 점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소득수준별로 보면 저소득 차주의 DSR은 58.1%로 크게 높은 반면, 고소득(33.9%) 및 중소득(33.8%) 차주의 DSR은 평균 수준(35.7%)을 하회했다. 취약차주의 DSR은 59.0%로 전체 평균을 크게 상회하지만 그간 최고금리 인하, 작년 6월 제2금융권 DSR 규제 도입 등으로 2018년 3분기(73.6%) 이후 상당폭 하락했다. 

한은 관계자는 "그동안 DSR 하락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 금리하락, 대출만기 장기화의 영향이 점차 축소되고 있어 가계부채의 증가세가 소득 증가세를 크게 상회하면 채무상환능력 약화는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한은에 따르면 다른 요인의 변화 없이 올해 3분기의 가계부채 및 소득 증가세(7.0% 및 0.3%)가 향후 1년간 지속될 경우 DSR은 35.7%에서 38.1%로 상승한다. 

특히 소득 대비 채무상환부담 정도가 매우 큰 DSR 70% 초과 차주가 전체 부채의 40% 정도를 보유하고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코로나19에 대응한 원리금상환유예 등으로 부실위험이 이연되고 있는 데다 주담대에 비해 연체율이 높은 신용대출의 가파른 증가세까지 고려하면 중장기적으로 가계부채 부실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부채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가계대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엄격한 거시건전성 정책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