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설정액 4.6조…퇴직연금펀드에 '돈' 몰린다
올 들어 설정액 4.6조…퇴직연금펀드에 '돈' 몰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한수연기자] 퇴직연금펀드 설정액이 올 들어 4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가계가 은퇴자산 수익성에 관심을 키우고 있는 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4일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올 들어 퇴직연금펀드에 자금유입이 집중되면서 지난 7월 말 현재 전체 400개 퇴직연금펀드 설정액은 4조61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말 3조991억원(펀드수 356개)에서 7개월 만에 펀드 수는 44개, 설정액은 1조원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퇴직연금펀드 설정액은 지난 2008년 말 6386억원에서 2009년 9350억원, 2010년 1조5262억원, 2011년 2조4692억원으로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자료=펀드닥터프로
그 중에서도 채권혼합형펀드 설정액은 지난해 말 2조4482억원에서 지난 7월 말 현재 3조1595억원으로 30% 가까이 증가했고, 채권형펀드도 같은 기간 3035억원에서 3621억원으로 19.3% 늘어났다.

해외투자형펀드 설정액 또한 같은 기간 28.8% 급증해 지난 7월 말 현재 2828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2011년 이후 인컴펀드가 출시되면서 신흥국 국채에 투자하는 해외채권형 연금펀드도 634억원의 설정액을 기록했다.

고위험 펀드로 꼽히는 하이일드펀드 수요도 급증했다. 월지급식인 글로벌하이일드 채권펀드 설정액은 2011년 말 3319억원에서 지난해 말 6830억원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저성장 저금리 기조에 인구 고령화마저 빨라지면서 위험자산 위주의 퇴직연금펀드에도 돈이 몰리고 있다는 게 전문가의 분석이다.

김보영 자본시장연구원은 선임연구원은 "통상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 투자에서는 안정성이 우선시 돼 현금이나 예금 거래가 주였지만, 최근 저금리 저성장 기조에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은퇴자산의 수익성에도 관심이 커졌다"며 "위험자산 위주인 퇴직연금펀드를 중심으로 해외투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선임연구원은 "특히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의 경우, 절세혜택에 고수익을 추구하는 은퇴자들의 투자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며 "향후 가계 위험선호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