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0년까지 주택 72만호 짓겠다
서울시, 2020년까지 주택 72만호 짓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승연기자] 서울시가 오는 2020년까지 임대주택 20만 호를 포함해 총 72만 호의 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7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소문청사 브리핑룸에서 "집 걱정 없는 서울에 한 발짝 더 다가가겠다"면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0 서울 주택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서울시는 2020년까지 멸실로 인한 대체 공급분 37만 호, 신규 공급분(순 증가분) 35만 호 등 총 72만 호를 공급한다.

시는 이를 통해 주택보급률을 92.7%(2010년 기준)에서 95%로 높일 계획이다.

사업별로는 정비 사업으로 34만 호, 보금자리주택 등 택지 개발로 11만 호, 도시형 생활주택 등 일반 건축으로 27만 호를 공급한다.

특히 현재 5%에 머무는 공공임대주택 비율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인 1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장기전세주택을 포함한 공공임대주택을 연평균 2만 호씩 모두 20만 호를 공급해 2020년에는 총 36만 호의 공공 임대주택을 확보하기로 했다.

시는 또 저소득층을 지원하는 `주택 바우처'를 현재 8200 가구에서 5만 가구로 확대하기로 했다.

주택바우처는 가계소득이 최저생계비의 120% 미만인 가구, 150% 이하 중 장애인·국가유공자·한부모 가구에 매월 4만3000∼6만5000 원을 지원하는 제도다.

휴먼타운도 2020년까지 자치구별로 4곳씩 총 100개소를 조성하기로 했다.

휴먼타운은 골목길이나 커뮤니티 등 기존 저층주택이 가진 장점과 경로당, 어린이집, 주차장, 공원 등 아파트 시설의 장점을 결합한 신개념 저층 주거지다.

재개발·재건축의 거품을 빼고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기관이 사업을 관리하는 `공공관리제도'를 2020년까지 200여 개 구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시는 추진위원회와 조합에 대한 융자 한도도 현재 10억원에서 60억원으로 높여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1∼2인 가구와 고령 인구의 증가, 평균 가구원 수의 감소, 시장 변화 등 주거 현황을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이번 정책을 마련했다.

시는 앞으로 10년간 총 주택 수가 328만 호에서 363만 호로 늘어나고 1∼2인 가구가 154만 가구(42%)에서 180만 가구(47%)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주택 점유형태는 자가 소유가 47%에서 52%, 월세는 23%에서 30%로 늘어나는 데 반해 전세는 28%에서 18%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효수 서울시 주택본부장은 "향후 10년간 집값은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며 "자가와 월세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지만 전세의 비중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