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잔인한 6월, 건설업계 자구책 내놔라
[기자수첩] 잔인한 6월, 건설업계 자구책 내놔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임해중기자] 금융권의 기업신용위험평가가 눈앞에 다가왔다. 결과는 이달 중순에나 나올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구조조정 대상으로 5곳 안팎이 거론된다. 대부분 PF대출 비중이 높고 악성 미분양 물량이 많은 중견건설사다. 기업신용위험평가를 앞두고 건설업계가 퇴출공포에 떨고 있는 이유다.

올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PF 대출은 총 25조원. 이 중 13조8000억원이 기업신용평가 시점에 몰려있다. 여기에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공공공사 발주 급감, 해외수주 감소 등 건설업계 상황은 날로 악화되고 있다.

위기가 코앞인데 건설업계는 금융 규제 완화, 보금자리주택 공급시기 조절, 분양가상한제 폐지 등을 앵무새처럼 외친다. 3차례에 걸친 부동산대책 발표에도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지 않았으니 관련 규제를 폐지해 달란다.

먹고살기 힘드니 서민들이 빚내서 집 좀 사게 해달라는 것이다. 뼈를 깎는 노력 없이 규제완화만을 외친다면 공감대를 얻기 힘들다. 업계의 DTI 규제 폐지, LTV 금융권 자율 결정 요구가 '폭탄 돌리기'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는 이유다.

업계의 위기는 부동산 호황에 편승해 무분별하게 사업을 확장한 건설사들에게 1차적 책임이 있다. 투기수요를 막기 위한 규제가 건설업계를 고사위기로 몰고 간 것은 아니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4차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는 업계의 대응이 아쉽다. 과감한 체질개선과 전략적인 사업전환, 재정건전성 확보 방안을 먼저 제시했어야 한다. 그 뒤에 제도 개선을 요구해도 늦지 않다.

6월이 죽을 자리가 될지 살 자리가 될지는 건설사들 몫이다. 기업신용평가를 앞두고 특단의 대책을 주문하기 전에 재무구조 개선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유상증자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전환사채(CB) 발행 등으로 유동성을 확보하고 사업성 없는 프로젝트는 과감히 포기할 필요가 있다. 이같은 노력이 선행되지 않으면 건설사들에게 6월은 잔인한 달이 될 것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