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11월 위기설' 가시화 되나
건설업계 '11월 위기설' 가시화 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임해중 기자] 대표적인 중견건설사인 우신건설의 최종 부도 소식이 전해지며 건설업계가 충격에 빠졌다. 주택경기 침체로 도산 위기에 처한 건설사가 늘고 있는 가운데 우신건설의 최종부도로 부실 건설업체에 대한 구조조정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특히 지난 달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강도 높은 건설사 구조조정을 예고 한 뒤 중견건설사들이 속속 부도위기에 내몰리자 퇴출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조짐이다.

이와 관련 전문건설협회 관계자는 "아직까지 4차 구조조정에 대한 신호는 없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중견건설업체들이 도산 위기에 직면해 구조조정이 임박했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라며 "11월 위기설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 각 채권단을 중심으로 4차 구조조정 작업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번 달에만 들어 우신기업을 비롯해 4개 업체가 부도를 냈다"라며 "특히 대표적인 1군 건설사인 우신건설, 엘드건설의 부도는 시장을 충격으로 몰아넣으며 위기감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건설시장에 또 다시 퇴출공포가 밀려오고 있는 것은 지난 6월 3차 구조조정이 엄격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고 일선 건설사들의 부실규모가 늘어나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 유동성 고갈이 '단초' 제공

전문가들은 현재 유동성 흐름이 양호해도 향후 주택사업 리스크까지 평가 대상에 포함되게 되면 실상 대부분의 중견기업들이 구조조정의 잣대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떻게 유동성을 확보하는가에 따라 11월에 운명이 갈릴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문건설협회 관계자는 이와 관련 "지난 신용위험평가 때 일시적 자금부족 등급을 받았던 한솔건설(B)이 워크아웃을 신청하며 유동성 고갈이 퇴출의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공공공사 발주 급감, 부동산 시장 경색으로 분양시장이 얼어붙으며 건설사들의 유동성을 심각하게 옥죄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건설업계가 자체 집계한 지난 8월 말까지 발주공사와 수주업체 분석 데이터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순위 1~10위 건설사의 수주실적은 연초 목표 대비 35%에 불과해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라며 "30위권 이후는 20%대에 그쳐 중소기업으로 갈수록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공모형PF사업 부실화 등 은행권에 건설업과 관련된 악성채권이 늘어나며 대출을 규제하고 있는 것도 유동성 고갈의 또 다른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실제 은행들이 건설업의 경우 올 6월 말 58조원을 대출하며 대출규모를 08년 대비(71조8200억 원), 19.2% 가까이 줄이면서 건설사들의 유동성을 심각하게 압박하고 있다.

이처럼 자금난이 건설사들의 연쇄부도를 부추기자 유동성 부족이 계속되면 대부분의 업체가 부도위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 구조조정 태풍 "하도급업체로 위기감 확산"

11월을 기점으로 태풍의 눈으로 부상한 줄도산 위기와 함께 구조조정 칼날에 대한 공포가 커가자 일선 하도급업체로 그 여파가 퍼지고 있다.

300대 기업 중 10%가 부도나 화의로 내몰릴 경우 하도급 전문 업체 1335곳이 연쇄 부도에 휘말리게 되고 100대 건설사 중 9곳이 부도 처리되면 3213개의 하도급 전문업체가 9400억 원의 피해를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기 때문이다.

대한전문건설협회(이하 KOSCA)가 지난6월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의뢰해 '종합건설사 구조조정이 전문건설업체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시공능력 100대 건설사 중 1곳이 부도 처리되면 평균 202개 협력업체에 공사대금 미지급 등으로 1230억 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이 중 76개 협력업체가 연쇄부도를 면하기 어렵다고 지적해 건설시장에 11월 대란이 발생하면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더욱이 최근 우신건설, 한솔건설 등 비교적 실적이 양호했던 중견건설사들이 부도위기에 내몰리며 공포감이 팽배하자 하도급업체들로 그 여파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와 관련 김종일 한국부동산정책연구원 관계자는 "작금의 위기는 대형건설사 및 중견건설사에게만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다"라며 "한계상태인 하도급 전문건설업체들도 줄 도산할 수 있는 만큼 위기 대응 방안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