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PF사업 '휘청'…부실 위험수위
대형 PF사업 '휘청'…부실 위험수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행권’ 직격탄 맞을 수도

[서울파이낸스 임해중 기자] 대형PF(프로젝트파이낸싱)사업에 적신호가 켜지며 대출부실화가 금융권에 직격탄을 날릴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8.29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회복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는 거래시장 침체와 악성 미분양 사태가 장기화되는 상황을 감안하면 대출부실화가 도미노처럼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대규모 공모형PF사업의 하나인 판교 알파돔시티가 토지비 등 1조600억원 마련을 위한 주주사들의 결의를 앞두고 있지만 이사회 결의를 낙관할 수만은 없다는 관측이 조심스레 점쳐지며 관계자들의 시름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5조원 규모의 이 사업은 유상증자를 통해 1564억 원을 조달해 사업정상화를 위한 숨고르기에 들어간 바 있지만 부동산 경기악화와 사업성 악화를 이유로 주주사결의가 원활할지는 미지수다.

이 사업은 그간 토지비 마련과 연체대금 마련이 사업진행의 발목을 잡으며 올 3월에서 다시 7월로 착공시기가 두 차례 연기된 바 있다.

이처럼 굵직굵직한 PF사업들이 연이어 어려움을 겪자 은행과 저축은행에 이어, 보험사, 카드, 종금사들의 부동산 PF대출 연체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올 상반기 동안 보험사들의 PF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대비 4.6%에서 7.9%로 증가하며 PF부실화가 위험수위에 임박했음을 방증한 바 있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4239억원으로 지난해 말 PF 대출 잔액 5조7357억원 중 2608억원이 연체됐던 점을 감안하면 무려 두 배 늘어난 수치다.

더 큰 문제는 보험사 PF대출 중 건전성 분류기준상 고정이하로 부실화된 대출금액이 증가하며 악성 채권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김종일 부동산정책연구원 상임연구원은 "11월에 들어서도 악성 채권 비율이 상승하고 있는 모습이라 상환능력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어 하반기 부동산 시장이 더 경색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PF 대출 가운데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지난 2008년말 2.5%에서 지난해 말 5.5%, 6월말 8.3% 등으로 올 들어 계속 상승하는 추세"라며 "1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PF대출 등에 대한 충당금 적립금이 늘어나며 은행들의 수익성 확보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PF대출 부실이 금융권의 발목을 잡자 대출 부실에 따른 국내경제의 뇌관이 위험수위에 다다랐다는 지적이다.

악성 채권에 의한 상환불가가 도미노처럼 줄을 이을 경우, 일선 기업은 물론 금융권으로 까지 부실의 한파가 몰아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현재 민간 건설사의 PF규모는 82조원(미착공 PF 43조원)이고 지방 자치단체 부채총계는 100조원으로 부동산 관련 부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민간 건설사의 미분양이 11만호에 달해 주택 공급 과잉을 해소하기까지 장기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돼 PF부실에 대한 우려가 높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김 연구원은 이와 관련 "펀드의 PF 연체율도 5조1543억 원의 대출금액 중 연체율이 30.4%나 돼 사태가 심각하다"며 "여신전문금융회사의 PF대출 연체규모는 3000억 원을 훌쩍 넘었고, 종금사의 PF 대출 연체규모는 183억 원, 상호금융기관의 PF대출 가운데 고정이하 여신 규모도 700억 원에 육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8.29 부동산대책의 약발이 제한적인 수준에서 머무르며 그 여파가 은행·저축은행에 이어 전체 금융권으로 확산되고 있는 모습"이라며 "악성 채권에 대한 시급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PF대출 부실이 가계부채와 함께 국내 경제의 뇌관으로 작용해 국내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