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대출 '이자폭탄' 현실화 되나
주택대출 '이자폭탄' 현실화 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D금리 상승에 가산금리 부담 '이중고'
"기준금리 상승시 가계부담 급증 우려"

[서울파이낸스 공인호 기자]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의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 전문가들은 CD금리 상승세에 대해 '제한적'이라고 분석하고 있지만,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이자폭탄'의 현실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21일 기준 91일물 CD금리는 2.51%로 6개월만에 2.5%대를 돌파했다. CD금리는 지난 4월 15일 이후 이달 12일까지 줄곧 2.41%에 머물렀지만 13일 이후 0.1%포인트 가까이 치솟았다.

최근 CD금리 상승세는 수급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이 함께 결합돼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은행 이성태 총재가 이달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3분기 이후"로 언급하면서 채권금리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함께 CD의 수요기반인 머니마켓펀드(MMF)의 자금유출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과 은행권의 CD발행이 늘고 있다는 점은 수급측면의 CD금리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지난 3월말 126조원에 육박했던 MMF 설정액은 주식시장 및 부동산시장으로 급격히 유출되며 18일 현재 99조원까지 축소됐다. 경기회복 기조가 지속될 경우 연내 20조원 이상의 자금이 추가로 유출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은행권의 CD발행도 줄을 잇고 있다. 지난 13일 이후 SC제일은행은 네차례에 걸쳐 1700억원어치를 CD를 발행했으며, 하나은행과 기업은행도 두세차례에 걸쳐 2700억원, 31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이들 은행들은 당국의 제제로 인해 주택담보대출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3개월물 CD 발행은 피하고 있지만, 전반적인 금리상승 압력을 키우고 있다.

IBK증권 오창섭 연구원은 "4개월 및 5개월물 CD금리는 지난 4월 중반 대비 각가 20bp, 30bp 상승한데 반해 3개월물 금리는 10bp 상승에 그쳤다"며 "다른 월물과의 스프레드 정상화 차원에서 3개월물 CD금리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다만 단기자금인 CD의 특성상 수신확대를 위한 은행권의 대규모 발행 가능성은 낮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기준금리의 동결기조가 지속되는 한 CD금리의 상승폭도 제한적이라는 얘기다.

결국 이자폭탄의 현실화 가능성은 기준금리의 본격적인 인상 시기와 맞물려 있다. 현재로선 올 연말까지 기준금리 동결기조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부동산 등 일부 자산시장의 거품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올 4분기 중 금리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은 역시 3분기 경기동향을 지켜본 후 금리인상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CD금리가 본격적인 상승국면에 접어들 경우 대출자들의 부담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은행들은 2%대의 고시금리에 최대 3~4%대의 가산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대출자들이 은행 창구를 통해 주택대출을 받을 경우 연 5~6%대의 금리부담을 져야한다는 얘기다. 대출에 부과되는 가산금리의 경우 대출만기까지 유지되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 두자릿수의 금리부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리먼사태 직전인 지난해 10월 CD금리는 6%대 초반까지 치솟기도 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최근 '늘어나는 가계부채, 문제 없나'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주요 선진국들과 달리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크게 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가계부채가 과도할 경우 부동산 버블 및 과다차입에 의존하는 소비로 금융기관 및 가계의 부실화, 가계 저축률 하락에 따른 잠재성장률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