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의보 보장확대·축소…고객은 뒷전
실손의보 보장확대·축소…고객은 뒷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박민규 기자] 손해보험사들이 실손의료보험의 보장한도를 줄일 계획이다. 지난해 경쟁적으로 보장한도를 늘리던 상황과 정반대 양상이다.

당초 3000만원 한도였던 질병·상해 입원의료비 담보는 지난해 1억원까지 급증했고 통원의료비 일당 한도도 10만원에서 최고 100만원까지 무려 10배나 오른 바 있다.

당시 그 같은 한도 확대는 고객을 위한 서비스 차원보다는 어느 한 회사가 한도를 올리니 영업력 확보를 위해 타사도 따라 올릴 수밖에 없었던 점이 더 크게 작용했었다.

그 당시 해당 담보의 한도를 올리지 않았던 곳은 업계 1위사인 삼성화재가 유일하다. 삼성화재의 경우 네임밸류가 있고 영업력에 자신이 있어 무리한 한도 확대에 나설 필요가 없었지만 2위권 회사 및 중소형사들은 어쩔 수 없이 한도 확대에 동참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 같은 한도 확대에 대해 당시 업계 내에서도 출혈경쟁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이에 입원의료비 1억, 통원의료비 30만·50만원 한도로 상황이 일단락됐었다.

그러던 것이 최근 한도 확대로 인해 장기보험 손해율이 상승하자 금융감독원이 한도를 낮추도록 지도·권고해 손보사들은 해당 한도를 각각 5000만·20만원으로 축소할 방침이다.

손보사들이 한도 확대를 앞세워 홈쇼핑 등을 통해 과도한 의료 이용을 부추기는 듯한 광고를 내보낸 점도 감독당국의 눈 밖에 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보건복지가족부 등 정부당국이 민영의보가 과잉 의료 이용의 주범이라며 보장률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상황에서 그런 형식의 광고가 곱게 보였을 리 만무하다.

이 같은 상황은 사실 지난해 손보사들이 경쟁적으로 무리한 한도 확대에 나설 때 이미 예견된 것이나 다름없다. 때문에 금감원의 이번 한도축소 지도가 때늦은 감이 없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물론 지금이라도 손해율 관리를 위해 한도를 낮추는 게 잘못된 일은 아니다. 문제는 한도를 확대할 때나 축소할 때나 고객에 대한 배려는 뒷전이라는 점이다.

지난해 한도를 확대할 때는 단기간에 무리한 한도 확대로 고객들의 혼란을 샀다는 점에서 그렇고 이번 한도 축소의 경우는 결국 손보사들이 어려우니 다시 한도를 낮추겠다는 것이기에 고객 입장에서는 보험사들이 입맛대로 한도를 늘렸다 줄였다 하는 것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

자연히 보험사에 대한 고객들의 신뢰도 역시 떨어질 수밖에 없다. 실손의보가 장기보험인 만큼 말 그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가입을 고려하고 계약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처럼 상품이 불안정하게 변경되면 고객들은 제대로 된 판단을 내리지 못한 채로 보험에 가입하거나 해지하게 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말로는 언제나 고객을 위한다는 보험사들, 말로만 고객을 찾을 게 아니라 진정으로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배려하는 자세가 선행돼야 하겠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