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단기부동화 현상 심화 '우려'
유동성 단기부동화 현상 심화 '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전자산 선호현상…불확실성 해소 '관건'

MMF 110조…단기금융시장 500조 추정

[서울파이낸스 공인호 기자] 시중자금의 단기부동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면서 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은행-실물간 '돈맥경화' 해소를 위해 푼 자금이 머니마켓펀드(MMF) 등 단기금융 시장으로 쏠리면서 통화정책의 실효성마저 의심받고 있는 상황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표적인 초단기 금융상품인 MMF의 설정액이 지난 3일 기준으로 110조원을 훌쩍 넘었다. MMF 설정액은 지난달 8일 사상 처음으로 100조원을 돌파한 뒤 한달만에 10조원이 추가로 유입됐다. 

문제는 MMF로 유입되는 자금의 출처가 대부분 법인이라는 점이다. 즉 기업과 금융회사의 자금이 투자와 대출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전체 MMF 설정액의 70%인 73조3000억원 가량이 대기업과 은행 등의 법인 자금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개인 자금 역시 CMA 등 단기금융상품으로 몰리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007년말 27조원이었던 CMA 잔액은 1년만에 30조7000억원까지 늘었다.
올해 들어서도 자금유입이 꾸준히 이어지며 1월23일 현재 34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계좌수 역시 지난달 16일 CMA 도입 2년만에 사상 처음으로 800만계좌를 돌파했다.

이에 따라 MMF와 CMA, 단기채권형펀드, 은행의 실세요구불예금 등 1년 미만의 단기 유동성은 50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시중자금이 투자로 이어지지 않고 단기금융상품으로 몰리는 것은 경기침체 우려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현상 때문으로 분석된다. 금리인하 및 유동성 공급 등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중 유동성이 단기부동화되는 전형적인 '유동성 함정'에 빠지고 있는 형국이다.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효과가 기대에 못미치고 있다는 점은 채권시장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9월 5.25%였던 기준금리를 지난달까지 2.50%까지 끌어내렸으며, 총액한도대출 증액, 환매조건부채권 매매, 통안증권 중도환매, 채권시장 안정펀드 등을 통해 21조원이 넘는 자금을 공급했다.

이 때문에 양도성예금증서(CD)와 기업어음(CP) 등의 단기 금리는 내렸지만 회사채 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국은행의 유동성 공급에도 불구하고 실물부문으로 자금이 유입되지 않는 것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여전하기 때문"이라며 "기업 구조조정을 신속히 추진하는 한편 유동성이 실물부문으로 직접 투입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 하다"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