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평균임금 OECD 평균 90% 넘었지만···남녀격차는 1위
한국 평균임금 OECD 평균 90% 넘었지만···남녀격차는 1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만9000달러로 일본 평균보다 1.2배
대기업·중소기업 임금 격차도 2.1배
사진=서울파이낸스DB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임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90%를 넘은 이후 격차를 좁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임금 수준은 10년 전 일본을 추월한 이후 격차를 계속 벌리고 있다.

그러나 OECD 회원국 중 남녀 임금 격차는 여전히 가장 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도 두 배 이상으로 벌어졌다.

23일 OECD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4만8922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의 91.6%로 역대 가장 높다.

이 수치는 2019년 89.7%에서 2020년 90.4%로 90%선을 처음 돌파했고 2021년 90.6%에 이어 2022년 더 높아졌다. 지난 2022년 수치는 30년 전인 1992년(63.8%)의 1.4배에 이른다.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1992년 2만6000달러 수준에서 2011년(4만252달러) 처음 4만달러 선을 넘은 데 이어 최근 5만달러 선에 근접해 OECD 평균과의 격차가 계속 줄고 있다.

2022년 한국 평균임금은 OECD 38개 회원국 중 19위다. 아이슬란드가 7만9473달러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룩셈부르크(7만8310달러), 미국(7만7463달러), 스위스(7만2993달러), 벨기에(6만4848달러), 덴마크(6만4127) 등의 순이었다.

반면 멕시코는 1만6685달러로 가장 적고 그리스(2만5979달러), 슬로바키아(2만6263달러) 등도 낮은 편이었다.

일본은 4만1509달러로 25위 수준이다. 한국 평균임금이 일본의 1.2배였다. 근로자 평균임금은 한국이 2014년 4746달러로 일본(4만257달러)을 처음 역전했다.

이후 격차가 계속 벌어져 2022년 한국은 4만9000달러에 육박하고 일본은 4만2000달러를 밑돌았다. 30년 전인 1992년에는 일본이 4만434달러로 한국(2만6214달러)의 1.5배였다.

이처럼 한국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일본을 넘어 OECD 평균과 격차를 계속 좁히고 있지만 성별, 기업 규모별, 근로 방식별로 격차가 심한 상황은 문제로 꼽힌다.

한국 성별 임금 격차는 2022년 기준 31.2%로 OECD 회원국 중 1위다. 일본은 21.3%, 미국은 17.0% 정도다.

통계청이 지난 2월 발표한 '2022년 임금 근로 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2022년 12월 기준 대기업 근로자 평균소득은 월 591만원(세전 기준)으로 중소기업(286만원)의 2.1배였다.

고용노동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은 2만4799원으로 비정규직(1만7586원)의 1.4배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