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건설사 1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 2조원대 '적자'
주요 건설사 1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 2조원대 '적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공능력 평가 50위 건설사 중 1분기 보고서
공사 원가 상승·분양 감소·미분양 증가 등이 원인
서울의 한 건설 현장 모습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의 한 건설 현장 모습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공사비 상승에 따른 원가 비용 증가와 경기 침체 장기화로 인한 미분양 발생 등의 이유로 주요 건설사들의 올해 1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 적자 폭이 지난해보다 확대된 모습이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시공능력 평가 50위 건설사 중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30곳(다른 사업 비중이 큰 삼성물산·한화 제외) 기업의 별도 재무제표 기준 영업활동 현금흐름 총액은 -2조3169억원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1조1817억원)보다 적자 폭이 더 커진 것이다.

나아가 이들 기업의 영업활동 현금흐름 감소 폭은 영업이익 감소 폭에 비해 더 컸다. 조사 대상 기업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 1조35억원에서 올해 8687억원으로 13.4% 줄었으나, 현금흐름은 적자 폭이 배로 확대된 것이다.

업체별로는 △현대건설이 -8747억원 △SK에코플랜트 -4214억원 △포스코이앤씨 -3541억원 △대우건설 -2840억원 △태영건설 -2089억원 △삼성엔지니어링 -1841억원 등 18개사가 마이너스 현금흐름을 기록했다.

반면 △HDC현대산업개발(1979억원) △DL이앤씨(1264억원) △롯데건설(1167억원) △한신공영(803억원) △계룡건설산업(602억원) 등의 순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 흑자 폭이 컸다.

이와 같은 마이너스 현금 흐름은 일시적인 수금 지연으로 발생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공사 원가 상승으로 지출이 증가한 반면, 공사비용 상승분에 대한 발주처와의 협의 지연, 분양 감소, 미분양 등으로 수입이 줄어든 영향이 크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한목소리로 말한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가파르게 공사 원가가 상승하면서 상승분만큼 현금 유출은 늘어난 데 반해 분양 규모는 줄고 미분양은 증가했다"며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당연히 현금이 들어오는 규모가 줄었다"고 말했다.

문제는 건설경기가 불황일 때는 이러한 여유자금 부족이 자금 흐름을 막아 기업 경영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지급 보증 등이 많아 PF 사업장에 연이어 문제가 발생한다면 위기가 커질 수 있다.

이 관계자는 "지금 같은 시기는 현금 흐름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큰 건설사는 상대적으로 안전할 수 있지만 현금 흐름에 차질이 생기면 큰 건설사도 순식간에 어려워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