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진號' 전경련, 4대그룹 재가입 확정?···삼성에 쏠린 눈
'류진號' 전경련, 4대그룹 재가입 확정?···삼성에 쏠린 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경유착 고리 끊고 신뢰 회복 과제···싱크탱크 역할 강화
삼성·현대차·SK·LG 재가입 긍정적···늦어도 10월 이전 유력
전국경제인연합회 현판 (사진=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 현판 (사진=전경련)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지난 6개월간 김병준 회장 직무대행 체제를 마치고 오는 22일 류진 풍산 회장을 신임 회장으로 추대한다. 이와 함께 이름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으로 바꾸고 재계 싱크탱크로서 역할을 강화한다.

이처럼 새로운 체제를 맞이하는 전경련이 재계 대표 단체라는 과거 위상을 되찾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가 수두룩하다. 신임 류 회장의 어깨가 무거운 이유다. 

앞서 김병준 직무대행은 지난 5월 한국경제연구원 흡수와 함께 전경련 혁신안을 발표했다. 당시 김 직무대행은 “정부 관계에 방점을 두고 회장·사무국 중심으로 운영됐던 과거의 역할과 관행을 통렬히 반성한다”며 “정치 권력의 부당한 압력을 단호히 배격하고 혁신을 주도해 경제에 기여하는 단체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전경련은 1961년 설립 이후 대표적 경제단체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2016년 국정농단 사태에 관여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대중의 거센 비난을 받았다. 이 때문에 삼성과 현대차, SK, LG 등 4대 그룹사가 전경련을 탈퇴했고, 이에 따라 지지 기반도 잃게 됐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주요 행사에서 전경련을 배제하면서 사실상 경제단체로서 역할을 할 수 없는 처지에 이르렀다. 이 가운데 12년간 전경련을 이끌었던 허창수 회장은 올해 1월 임기가 끝나면서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이에 따라 전경련은 김 직무대행 체제에서 쇄신안 마련과 함께 차기 회장 물색에 들어갔다. 

김 직무대행이 발표한 쇄신안은 △한국경제연구소 흡수 통합해 싱크탱크 기능 강화 △윤리경영위원회 설치 △신산업 분야와 젊은 기업인 중심의 회장단 확대 △위원회 활성화 등이다. 이와 함께 2016년 탈퇴한 4대 그룹의 재가입도 주요 과제로 언급됐다. 

앞서 전경련은 지난달 4대 그룹에 재가입을 공식 요청했다. 신임 회장 취임에 맞춰 4대 그룹이 재가입하는 게 전경련이 바라는 것이지만, 현재로선 재가입 여부에 대해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재계 인맥 통인 류 회장이 새 회장을 맡게 된 만큼 4대 그룹 재가입은 긍정적이란 관측이 나온다. 

류 회장은 2001년부터 전경련 부회장으로 활동했고, 한미 재계회 한국 측 위원장을 맡고 있다. 류 회장 일가는 아버지 류찬우 풍산 창업주 때부터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 일가와 인연을 쌓았다. 또 한미 재계회 활동 덕분에 미국 정재계에도 풍부한 인맥을 가지고 있다. 

전경련은 류 회장이 이 같은 인맥을 바탕으로 전경련 혁신과 함께 재계 맏 단체로 다시 일으켜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재계 일각에서는 4대 그룹의 전경련 재가입에 앞서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는 등 쇄신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이 여전하다. 

전경련은 류 회장을 추대하는 이달 22일 총회에서 윤리경영위원회 설치와 함께 윤리헌장도 발표할 예정이다. 윤리헌장에는 ‘정치·행정권력의 부당한 압력을 단호히 배격’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윤리경영위원회는 일정 금액 이상의 대외사업에 대해 심의하는 역할로 사회 각계에서 추천한 인물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 때문에 전경련의 쇄신은 사실상 윤리경영위원회의 정상적인 운영 여부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윤리경영위원회가 어떤 인물로 구성될지 가장 중요한 과제로 남게 됐다. 

이와 함께 재계에서는 류 회장이 새 협회 상근부회장으로 외교부 출신 전직 고위 관료를 내정하고, 김 직무대행에 상임고문역을 맡길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관료 출신 상근부회장이 내정되면 정경유착 고리를 끊겠다는 의지가 퇴색돼 보일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에 대해 전경련 측은 "결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정경유착 고리를 끊는 것 외에 신산업 분야와 젊은 기업인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숙제다. 현재 전경련 회장단에는 한화와 코오롱, 롯데, 삼양, 풍산, DB, 종근당, 두산, 한진, GS, 효성 등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등 IT·플랫폼 기업들의 체급이 이전보다 커졌고.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요구도 거세지는 만큼 이 같은 흐름을 반영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한편 재계에서는 4대 그룹의 재가입 시기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기업들의 정치적 논란을 줄이기 위해 10월 국정감사 이후가 될 거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또 다른 쪽에선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기존 22일 정기회의 이전에 임시회의를 개최하기로 하면서 재가입이 빠르게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삼성 측 관계자는 "각 계열사 이사회 결정이 이뤄져야 하는 만큼 시기를 단정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재계에서는 삼성이 재가입한다면 현대차와 SK, LG 등도 빠르게 재가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