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위기론', 自省이 먼저다
'저축銀 위기론', 自省이 먼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문선영 기자]<moon@seoulfn.com>'저축은행 위기론'이 솔솔 피어 오르고 있다. 대내·외적인 경영환경이 나빠지고 있어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 문선영 기자 © 서울파이낸스
문제는 이같은 어려움을 저축은행 스스로 자초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저축은행들은 정부가 저축은행을 서민들을 위한 금융사로 만들어놓고 그에 맞는 환경을 조성해 주지 않고 있다고 볼멘소리를 내왔다. 그러나 가장 우선시 돼야 할 스스로의 노력이 부족했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최근 고물가, 불경기라는 대외적인 요인으로 경영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은행에 자회사를 통한 서민금융진출을 허용으로 저축은행의 수익기반 약화가 우려되고 있다. 여기에 설상가상, 저축은행들이 경쟁적으로 늘렸던 고금리 수신과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등이 부메랑으로 돌아와 수익성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25%까지 적립하도록 함으로써 저축은행의 부담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으로써는 이래저래 악재가 겹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저축은행에 대한 '우려'는 비단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동안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웬만한 지방은행의 규모를 넘어설 정도로 성장해 왔지만 자산건전성이나 리스크 관리에 대한 문제는 끊임없이 지적을 받아 왔다. 저축은행이 규모는 성장했지만 그 만큼의 내실을 다지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저축은행업계는 저축은행업이 감독당국의 과도한 규제로 인해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주장해왔다. 실제로 감독당국의 규제가 다소 과도한 측면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드러나고 있는 저축은행의 위기를 감독당국의 규제만으로 보기에는 어렵다는 것이 문제이다. 지속적으로 부실화 우려가 제기돼 온 저축은행의 PF대출만 살펴보더라도 저축은행의 리스크 관리 능력은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저축은행의 부동산 PF는 지난해부터 부실화 우려가 계속해서 제기돼 왔지만 이같은 문제가 제기될 때마다 저축은행업계는 "잘 관리하고 있다", "문제가 없다"고 대응해왔다. 하지만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나지 않는 법이다. 최근 예금보험공사가 작성한 '상호저축은행 주요 리스크 요인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건전성이 양호해 보이는 것은 '착시현상'에 불과하다.

예보는 보고서에서 저축은행의 주요 건전성 지표가 양호한 모습을 띠고 있지만 안을 들여다 보면 건정성이 개선됐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PF대출이 감소한 것은 PF대출 편중현상이 완화됐다기 보다는 총 대출금이 증가해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또 저축은행들이 워크아웃 진행중인 PF대출에 대해 정상 채권으로 분류해 충당금을 쌓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 PF대출의 워크아웃 편입을 늘리면서 연체중인 PF 대출 일부가 미연체로 분류됨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라는 설명이다. 이어 예보는 PF대출의 잠재부실 위험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업 주택담보대출 리스크 등 신종 리스크에 대한 경고음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축은행이 진정 서민들을 위한 금융사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서민들이 소중한 종잣돈의 보호할 수 있는 신중한 리스크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서울파이낸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