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SW 해외진출 등에 5600억 투입···'국가대표'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정부, 올해 SW 해외진출 등에 5600억 투입···'국가대표'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이 디지털플랫폼 정부 실현 계획 보고회에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이도경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1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디지털 기초 체력 강화와 해외 진출 촉진을 골자로 한 '소프트웨어 진흥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올해 소프트웨어 분야에 563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정부는 우선 다양한 하드웨어의 구조(아키텍처)를 고려해 저전력으로 최고의 성능을 내도록 돕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을 올해부터 본격 추진한다.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통해 정부와 업계가 저전력 AI 반도체 개발에 힘을 쏟는 상황에서 국산 AI 반도체를 쓴 데이터센터에서 구동할 고효율 컴퓨팅 소프트웨어 개발을 목표로 예비타당성 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글로벌 진출 가능성이 높은 '국가대표'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도 지원한다고 밝혔다

성장 가능성, 수출 경쟁력 등을 기준으로 유망한 소프트웨어를 선정해 올해부터 2년간 연구개발사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데, 협업 도구, 제조 산업용 소프트웨어, 의료·제약용 소프트웨어 등이 대상으로 거론된다.

여기에 제조·자동차·조선해양·우주 등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 수요를 부처 협업을 통해 발굴하기로 했다.

자동차, 로봇, 도심항공교통(UAM) 등에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는 소프트웨어 개발은 2025년부터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아울러 기술 축적이나 글로벌 진출이 쉬운 특징을 지닌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분야가 우리나라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2021년 1100여 개던 국내 SaaS 기업을 2026년까지 1만 개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내놨다.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주요 기업들은 패키지 소프트웨어 판매, 시스템 구축(SI) 중심이던 사업 구조를 SaaS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유통·판매가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특성상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성장과 해외 진출에 용이한 환경이 구축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SaaS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진입한 이후 어려움을 겪는 마케팅, 영업 등을 정부가 도울 방침이다.

넷플릭스라는 플랫폼을 통해 세계 무대에 진출한 '오징어게임'처럼 국내 유망 소프트웨어도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IT 기업 플랫폼에 진입해 뻗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념이다.

이를 위해 이들 해외 빅테크의 AI 콘퍼런스 등과 연계, 국내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알리는 글로벌 테크 파트너십 행사를 마련하기로 했다.

아울러 국내 SaaS 제품 판로 확보를 목적으로 공공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SaaS 형태 개발을 지원한다. AI 디지털 교과서가 대표적이다.

또 공공기관 등 발주처가 SaaS 제품을 시스템 구축(SI)에서 분리해 직접 구매하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제값을 받도록 한다는 취지에서다. 나아가 Saas 기업 대상 대출·보증 등 정책금융에 올해 1000억원을 편성했다.

정부는 연 매출 1000억 원 이상으로 소위 '1천억 클럽'에 드는 소프트웨어 기업 수를 2021년 기준 145개에서 2027년 250개로 늘리고 전문 인재 20만명을 양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아울러 개방·공유·협력을 기반으로 한 오픈소스 생태계가 해외 소프트웨어 업계 경쟁력의 기반이 됐다고 보고 국내 개발 생태계에서도 오프소스 활용이 확산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소프트웨어는 디지털 신기술 혁신과 성장을 견인하는 기반으로서 기초체력을 튼튼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디지털 인재 양성, 기반 기술 개발, 제도 개선 등 주요 정책을 꼼꼼히 챙기겠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