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플랫폼정부(DPG) 허브 사업 본격화···"민간 초거대 AI 활용지원"
디지털플랫폼정부(DPG) 허브 사업 본격화···"민간 초거대 AI 활용지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기정통부, 18일 '디지털플랫폼정부 허브 구현 사업 설명회' 개최
데이터레이크 운영 사업, 초거대 AI 활용지원 사업 등 소개
(사진=이도경 기자)
디지털플랫폼정부 사업 설명회. (사진=이도경 기자)

[서울파이낸스 이도경 기자] 정부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에서 확정한 '디지털플랫폼정부(DPG) 허브' 구현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서울 중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 인프라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과 공공기관,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디지털플랫폼정부 데이터레이크 운영 사업 △민간 클라우드 기반 테스트베드 구현·제공 사업 △애자일 혁신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 △민간 첨단 초거대 인공지능(AI) 활용지원 사업 등에 대해 소개했다.

DPG 허브란 민간-공공 데이터와 서비스 기능을 안전하게 연결하고 이를 융합·활용해 혁신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지난 14일 정부가 발표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의 핵심 과제 중 하나다.

우선 정부는 우선 개별 운영 중인 시스템을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원시 형태로 축적·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DPG 데이터레이크 운영사업'을 오는 12월15일까지 추진할 방침이다. 사업 예산은 약 14억7000만원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 수집은 환경, 교통, 산업, 행정, 재난안전 중 추후 협의를 통해 선정될 도메인의 모든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축적하며, 수집되는 대량의 원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저장소를 지원하고 자동화 및 백업·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또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시스템 대상으로 민간·공공에서 수집되는 대규모 데이터의 실시간 조회·다운로드·데이터 변환 등 사용자별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며, 수집 데이터 중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비식별화 처리를 지원할 방침이다.

조현정 NIA 선임은 "그간 공공-민간 간 상이하게 운영되는 시스템 환경으로 인해 데이터 사일로(각 부서·사업단위 별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현상)가 발생해왔다"며 "개별 운영 중인 시스템을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해 정부와 민간 간 칸막이를 제거하고자 이번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최근 초거대 AI 기술을 이용한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 등장으로 초거대 AI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중소-벤처기업과 공공기관 등에서 민간의 초거대 인공지능 인프라와 플랫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초거대 AI 활용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지원 사업은 초거대 AI 플랫폼 공급기업이 수요기업·기관을 대상으로 컨설팅·교육·플랫폼 활용 등을 지원하는 '종합지원형'과 공공의 수요를 바탕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분야별 과제를 추진하는 '수요연계형'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사업 예산은 약 20억원이다.

이성윤 NIA 선임은 "그간 초거대 AI 개발을 위한 초기 인프라·투자 비용 등의 한계로 민간·공공 등에서 초거대 AI 개발·활용이 어려웠다"며 "국내에서도 초거대 AI 플랫폼 보유·개발 기업 등이 협업 상생 협력해 초거대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국민과 기업, 정부의 디지털 혁신과 AI 일상화를 위해 이번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