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연시 짐싼 은행원, 1인당 6억~7억 챙겼다
연말연시 짐싼 은행원, 1인당 6억~7억 챙겼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퇴직금 1인당 평균 3.4억~4.4억 수령
법적 퇴직금까지 포함할 경우 6억 이상
(왼쪽부터) KB·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 사옥 전경 (사진=각 사)
(왼쪽부터) KB·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 사옥 전경 (사진=각 사)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지난해 말 이후 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에서 2200여명이 자발적으로 은행을 떠난 가운데, 1인당 최소 6억∼7억원의 퇴직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작년 실적을 발표한 주요 시중은행 중 신한·KB국민·하나은행 등은 4분기에 희망퇴직 비용을 반영했다.

이들 은행은 회사를 자발적으로 떠난 직원들에게 특별퇴직금 명목으로 1인당 3억4000만~4억4000만원 가량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신한은행은 지난해 4분기 실적에 희망퇴직 비용 1336억원을 반영했다고 공시했다. 희망퇴직 인원이 388명임을 감안할 때 1인당 평균 3억4400만원을 지급한 셈이다.

KB국민은행은 작년 4분기 희망퇴직으로 2725억원을 비용으로 반영했다. 지난 1월 퇴직 확정인원이 713명인 점을 고려하면 1인당 3억8200만원을 특별퇴직금 명목으로 지급한 셈이다. 이는 2021년 1인당 평균 특별퇴직금(3억7600만원)과 비교하면 소폭 늘어난 것이다. 

우리은행은 올해 초 349명이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그만 둔 가운데 지난해 4분기 1547억원의 희망퇴직 비용을 책정했다. 1인당 평균 금액으로 따졌을 때 4억4300만원으로 실적이 발표된 주요 시중은행 중 가장 높았는데, 타 은행과 달리 희망퇴직자 대상자를 정년을 앞둔 고연차들을 중심으로 추렸기 때문이다.

하나은행은 다른 주요 은행과 달리 오는 1분기 실적에 희망퇴직 비용을 반영할 계획이다.

특히 일회성 비용인 희망퇴직 비용 외에 법정퇴직금까지 포함할 경우 올해 초 은행을 떠난 이들은 최소 6억~7억원 가량을 수령한 것으로 전해졌다.

법정퇴직금은 통상 최근 3개월 월평균 임금에 근속연수를 곱해 계산하는데, 2021년 사업보고서 기준 주요 시중은행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은 KB국민은행 1억1200만원, 신한은행 1억700만원, 하나은행 1억600만원, 우리은행 9700만원 등이었고, 평균 근속연수는 16년 안팎이었다.

앞서 지난해 말 이후 각 주요 시중은행들이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결과, 5대 시중은행에서 2200여명이 회사를 떠났다. KB국민은행이 713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NH농협(493명), 신한(388명), 우리(349명), 하나(279명) 등의 순이었다.

이처럼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비용 증가에도 은행들이 매년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이유는 디지털화와 비대면전환 흐름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은행 지점을 찾는 고객수가 급감하면서 은행 지점 역시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이 때문에 지점에서 영업하는 인력을 줄이는 대신, 디지털 흐름에 맞는 인력을 보충하려는 것도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