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실징후기업 185개사 '25사↑'···"中企 경영악화 심화"
올해 부실징후기업 185개사 '25사↑'···"中企 경영악화 심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D등급' 20사·중소기업 26사 증가···기계장비업종 최다 비중
부실징후기업 금융권 신용공여액 1.5조···은행 건전성 영향 미미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서울파이낸스 남궁영진 기자]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에 들어가는 부실징후기업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이 증가하고, 복합위기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된 데 기인했다. 

19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2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해 185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지난해(160개사)와 비교해 25사 증가했다. 

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들이 부실 가능성이 있는 대기업 및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재무 위험성과 경영 부실 정도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분류 등급은 △정상적인 영업이 가능한 A등급 △외부환경 악화 시 부실징후 가능성이 있는 B등급 △부실징후기업이고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C등급 △부실징후기업이고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D등급 등 총 네 단계로 구성된다.

등급별로 보면 C등급과 D등급이 각각 84개사, 101개사로 전년보다 5사, 20사 늘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이 2개사로 1사 감소한 반면, 중소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미만)은 183개사로 26사가 증가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인 지난해까지 2년간 감소했던 부실징후기업은 다시 증가하면서 2018년 수준에 근접했다.

금감원은 "세부평가 대상 확대에 따른 자연 증가분 외에도 D등급을 중심으로 부실징후기업이 증가했다"면서 "한계기업 증가 및 복합위기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된 데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부실징후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기계장비업(20개사, 10.8%)로 가장 많았고, △금속가공(17개사) △부동산(15개사) △도매·상품중개(13개사)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전년 대비 내수산업인 부동산업(+12개), 식료품제조업(+8개), 도매·중개업(+6개)이 증가한 반면, 실적 호조를 보인 자동차업(-7개), 금속가공(-5개)은 감소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올 9월 말 기준, 1조5000억원으로 크지 않아, 국내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예정이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 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약 1367억원으로 추정되고, 자기자본비율(BIS)비율 변화폭은 미미한 수준이다. 6월 말 기준, 국내은행 BIS는 15.29%로,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시 0.01%p 하락이 예상된다.

금감원은 향후 워크아웃 신청기업(C등급)에 대해서는 기업의 자구노력을 전제로 한 채권단 금융지원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하고,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정상기업(B등급)에 대해서는 채권은행 자체 경영개선(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을 통해 지원(금리할인, 만기연장)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산업부·중기부, 캠코 등 유관기관의 기업지원 제도에 은행권 참여를 확대해, 금융지원 외 사업구조 개편, 진로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을 동시 가동할 것"이라며 "기업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정상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신용위험평가 실효성 제고 및 제도 개선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