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공기업 CEO 인선속 '함정'(?)
금융공기업 CEO 인선속 '함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공인호 기자 © 서울파이낸스
[서울파이낸스 공인호 기자]<ihkong@seoulfn.com>최근 발표된 금융공기업 CEO 인사를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특히 민간출신 박해춘 우리은행장의 불신임과 관료출신 윤용로 기업은행장의 재신임은 이변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공기업CEO 인선과정이 뚜렷한 인사원칙 없이 진행됐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인사에 대한 정부의 의중도 다각도로 해석되고 있다.
 
우선 박해춘 행장의 불신임과 윤용로 행장의 재신임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다.
박 행장의 경우 서브프라임 관련 손실이 불신임의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투자가 박 행장 임기시절에 투자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특히 박 행장의 전문성과 실적측면에서는 중도하차의 이유를 찾기 힘들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일각에서는 조직 장악력 측면에서 박 행장의 인사관련 내홍이 도마위에 오르긴 했지만 마냥 부정적으로 보기에도 무리가 따르는 것도 사실이다.

정부도 우리은행장의 불신임에 대해선 뚜렷한 해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후선 인사를 염두해 뒀다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데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은행장으로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인물들이 정권창출에 공헌했던 인사라는 점이 이같은 해석을 뒷받침한다.
 
회장과 행장의 분리체제를 유지키로 한 것도 다소 의문스럽다는 반응이 대체적이다.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경우 은행장에 대한 인사권이 없어 사실상 '허울뿐인 자리'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은행장에 대한 인사권이 없으니 은행의 각종 사안에 대해서도 간섭하기 힘들 수밖에 없다. 지난 1년 동안 우리금융 회장직을 맡았던 박병원 회장 역시 그룹의 경영과 관련된 업무보다는 대외활동에 주력해 왔다는 후문이다.
  
이처럼 부정적인 평가가 잇따르고 있는데도 정부가 우리금융지주의 회장-행장 분리체제를 유지키로 한 것에 대해 '보은 인사' 의중이 깔려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알토란 같은 금융 CEO 두자리를 굳이 한자리로 줄일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또 만약 친정부 인사가 회장에 선임될 경우 행장은 순수한 민간출신 인사로 채워 코드인사에 대한 비판을 피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또 하나의 이변으로 꼽히는 윤용로 행장의 경우 다소 상반된 해석이 나온다.
관료출신이긴 하지만 아직 임기가 1년이 채 안됐기 때문에 재신임에 성공했다는 해석이 일반적이지만 기업은행의 민영화 문제가 맞물릴 경우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이르면 1년 이내에 민영화에 이은 매각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 굳이 CEO를 교체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결국 정부의 이번 금융공기업 CEO 인사는 전문성과 실적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당초 약속과는 달리 후임인선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했다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달 말로 예정된 공모결과가 이같은 금융권 일각의 의구심을 해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공인호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