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조' 중금리대출 시장 잡아라···2금융권, 선점 경쟁 치열
'5조' 중금리대출 시장 잡아라···2금융권, 선점 경쟁 치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년새 5배 성장···정부 '포용적금융' 기조 부응
"중금리 활성화 할수록 저신용자 외면" 지적도
사이다 메인페이지.
SBI저축은행의 중금리대출 상품 '사이다'.(사진=SBI저축은행)

[서울파이낸스 윤미혜 기자] 정부가 카드사의 수익보전을 위해 중금리대출 활성화 방안을 내놓자 카드-캐피탈, 저축은행 등 2금융권 내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서민금융의 중심인 2금융업권에서 중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경쟁이 치열해지면 향후 저신용자들의 대출 이용이 더욱 까다로워질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16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중금리대출 상품이 출시된지 3년 만에 공급규모가 5배 가까이 늘었다.  2016년 민간 금융권에서 공급한 중금리대출 규모는 9481억원에서 2017년 2조7812억원으로 두배 이상 증가했다. 2018년 상반기 기준 누적 중금리대출 공급규모는 4조5000억원 수준으로 2016년 대비 5배 가량 성장했다.

2금융업권에서 중금리 대출에 가장 적극적인 저축은행은 중신용자를 대상으로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SBI저축은행의 '사이다', JT친애저축은행 '원더풀 와우(WOW)론', 웰컴저축은행의 '척척·텐텐대출' 등 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부업 이미지와 폭리를 취한다는 인식때문에 중금리 대출 시장은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된다"며 "그동안 중·저신용자 위주로 대출심사를 해 온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중금리 대출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드업계도 중금리대출을 확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그동안 카드업계는 취급할 수 있는 카드론·현금서비스 외에 대출영업 확대 등을 위해 자본규제 완화 차원에서 레버리지 비율 상한을 캐피탈사와 동등한 10배로 올려줄 것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금융위는 최근 카드산업 경쟁력 제고 및 개선 방안 발표에서 레버리지 비율을 현행 6배로 유지하는 대신, 총자산에서 중금리 대출을 제외시키기로 했다. 때문에 카드사들은 이미 한도가 찬 대출자산을 늘릴 수 없어, 중금리대출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캐피탈업계도 정부 기조에 맞춰 중금리대출을 점차 확대할 방침이다. 한 캐피탈사 관계자는 "캐피탈사도 결국 대출을 통해서 자산을 늘려야 하는데 기존대출 한도를 이미 막아놨기 때문에 , 그 이상 늘리려면 중금리대출을 늘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더욱이 기존 시중은행·저축은행 외에 출범 2주년을 맞은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은행이 중금리 대출 시장 공략에 가세하고 있고, 제3 인터넷 은행에 도전장을 내민 '토스뱅크'도 소상공인과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상품을 준비하는 등 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같이 중금리대출 시장의 경쟁이 활발해진 데에는 문재인정부 금융정책의 키워드 중 하나로 '포용적 금융'이 강조되면서부터다. 그간 1~3등급의 고신용자는 5% 미만의 저금리로 대출받는 대신 신용도가 낮은 중·저 신용자는 20% 초과 금리로 대출받는 등 금리구조가 단절화 돼 있었다.

중금리대출 시장이 활성화 되면 '금리단층'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지만, 일각에서는 정작 혜택을 받아야하는 저신용자(7~10등급) 등 서민들의 대출 이용이 더욱 어려울 것이란 지적도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중금리 대출이 승인되려면 정부에서 원하는 까다로운 조건을 맞춰야한다. 최고금리, 평균금리, 신용등급 등 충족해야 한다"며 "이같은 조건에 맞게 각 카드사에서 상품을 출시하면 부실위험이 높은 저신용자에 대한 심사는 한층 까다로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신용자를 흡수하면 부실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저금리로 적용하지 못한다. 법정최고금리인 23, 24%까지 갈 수 도 있다"며 "당국이 '고금리 사채'라고 바라보는 기조에서는 저신용자를 못 받는다. 결국 중금리 대출이 늘어나면 저신용자는 밀려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때문에 저신용자들이 아예 대출을 못받아 사채로 가는 것보다 이들을 위한 상품 내지 회사가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오고 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