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
<오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보생명 상장 앞두고 3천억 유상증자
생명보험사 '상장 1호'로 유력한 교보생명이 연말 상장에 앞서 3000억원 규모 해외 유상증자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국내 3대 생보사 가운데 하나인 교보생명의 지배구조 변화 여부를 두고 금융권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교보생명은 우호적 투자자를 물색하고 있지만 증자에 참여하려는 외국계 금융기관들은 단순 지분투자를 넘어 경영권 참여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은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증자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상장 이전에 유상증자를 실시해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이 상장을 위해서도 유리하다는 판단 아래 3자 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통한 외자유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산관리공사(캠코) 관계자도 "지난달 말 교보로부터 1차 상장계획안을 받았는데 유상증자 관련 내용이 포함돼 있다"며 "구체적인 증자 규모, 신주 발행 가격 등에 대해 캠코와 협의해 달라고 요청해 놓은 상태"라고 확인했다.
교보생명 지분 41.48%를 관리하는 캠코는 '기존 주주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다'는 조건부 증자에 찬성한다는 방침이다.
교보생명은 교보차보험을 인수한 프랑스의 보험그룹 악사(AXA), 미국 푸르덴셜그룹 등 세계적인 보험강자들과 물밑 협상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악사, 푸르덴셜 등 외국계 투자자가 증자에 참여하면 교보생명 지분구조는 자산관리공사 33%,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과 특수관계인 50%, 외국계 10~15% 수준으로 변경될 것으로 점쳐진다.
교보생명은 캠코의 관리 지분과 신창재 회장 친인척 지분의 매각에 따라 경영권이 위협받을 수 있는 구조여서 '경영권 위기론'에 시달렸다.
현재 교보생명 대주주는 신창재 회장으로 지분 37.26%를 보유하고 있으며 친인척 지분(15.75%)을 합쳐 53.01%로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 중 캠코 지분과 친인척 지분을 한 투자자가 인수한다면 경영권이 바뀔 수도 있다는 시나리오다.
지난 2월 신 회장의 친인척 5명은 지분 4.99%를 일본 소프트뱅크 계열 금융사인 SBI홀딩스에 매각한 바 있다.
한편 캠코는 공적자금의 조기 회수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교보생명 지분 41.48%를 상장 일정에 맞춰 일괄매각할 방침이다.
캠코는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으로부터 대물변제받은 200만주(11%), 교보생명 상속세 물납분 120만주(6.48%), 대우인터내셔널 담보제공 440만주(24%) 등을 관리하고 있다.
캠코 관계자는 "캠코가 대우인터내셔널 대주주지만 대우 측이 매각 대신 계속 보유하겠다고 하면 매각을 강제할 수 없다"며 "이렇게 되면 캠코가 직접 권리를 갖고 있는 17.48%만 매각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캠코는 고가 매각을 위해 교보생명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고 매각할 경우 경영권 분란을 일으킬 수 있어 고심하고 있다.
또 해외 투자자에 일괄 매각해 경영권의 넘어갔을 때 쏟아질 여론의 비난도 부담스러워 하는 대목이다.
업계에서는 캠코가 교보생명의 경영권을 흔들 무리수를 둘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증자와 지분매각 이후에도 신 회장의 경영권 유지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교보생명 관계자는 "우호세력 또는 전략적 투자자에게 지분을 매각하도록 캠코와 협의할 예정이기 때문에 경영권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캠코 관계자도 "현재 오너 일가 지분이 53%에 달하기 때문에 증자와 지분매각을 하더라도 경영권이 위협받을 일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