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재해복구센터 대부분 '거리'(?) 취약점
증권사 재해복구센터 대부분 '거리'(?) 취약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 전산센터와의 거리 30Km 이내
은행-보험 등 타 금융업종과 차이

[서울파이낸스 이상균 기자] <philip1681@seoulfn.com> 증권사가 전산재해복구센터를 건립시 주 전산센터와의 거리가 30Km 이내인 경우가 많아 위험성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최근 금융권에서 복구센터를 건립할 때 주 전산센터와 원거리에 위치한 장소에 설립하는 경향이 강한 것과는 반대되는 것이어서 우려된다.
복구센터를 구축할 시에는 주 전산센터의 지진, 수해 등 규모가 큰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최대한 원거리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 금융권에서는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금융감독원 © 서울파이낸스

하지만, 이렇게 복구센터가 원거리에 위치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지난 2000년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복구센터를 구축한 금융사의 경우 거리가 30Km가 넘어가면 통신망의 속도와 품질이 급격히 떨어져 온라인 복제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설사 그 거리에서 온라인 복제를 실행한다 하더라도 몇 배의 비용이 추가됐기 때문에 대부분의 복구센터는 30Km 이내에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기술적 발전은 이러한 흐름을 완전히 뒤바꿔 놓았다. 데이터 복제기술과 통신망의 품질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비용이 크게 감소한 것. 따라서, 각 금융사들은 복구센터의 원거리 이전을 적극 추진할 수 있게 됐다.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각 금융권별로는 은행, 보험, 카드사가 30Km 이상의 거리에 복구센터를 구축한 비율이 50% 내외로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반면, 증권사는 타 금융권에 비해 이러한 비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자세히 살펴보면, 카드사의 경우 전체 6곳 중 4곳이 30Km 이상의 거리에 복구센터가 위치해 66.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은행의 경우 17곳 10곳으로 58.8%를, 보험사의 경우 43곳 중 21곳으로 48.8%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 증권사는 전체 52곳 중 8곳으로 15.4%에 머물렀다. 대부분의 복구센터는10Km~20Km에 50%나 되는 26곳이 몰려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같은 수치는 증권사가 전산재해복구센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때문”이라며 “자연재해시 위험부담을 덜기 위해서라도 증권사의 복구센터는 더 먼 거리에 건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균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