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집사기는 '별따기'?
서울에서 집사기는 '별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택구입능력지수 7년만에 100 하회
전국지수도 하락...가계 건전성 악화

[서울파이낸스 이광호 기자]<lkhhtl@seoulfn.com>최근 집값앙등으로 예상은 됐지만, 서울지역에서 주택을 구입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려워 졌다는 구체적인 지표가 제시됐다. 소득증가가 집값오름세를 따라가지 못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으로, 이는 지방에서도 마찬가지다.

가계 소득과 주택가격 등에 대비한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주택구입능력지수(HAI)가 서울지역에서 하강추세를 보이면서, 7년만에 100 아래로 떨어졌다. 주택구입능력지수가 100 이하일 때는 가계의 주택대출이 소득에 비해 과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택구입능력이 떨어졌다는 뜻인 동시에 가계재정의 건정성이 그 만큼 악화됐다는 뜻도 된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서울지역의 주택구입능력 지수는 2005년말 114.4에서 2006년말 101.2로 떨어진 데 이어 올해 3월말에는 85.9까지 하락했다. 서울지역의 주택구입능력 지수가 100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00년(88.8) 이후 7년만에 처음이다.

주택구입능력 지수는 '평균가구소득/상환요구소득 X 100'(기준치 100)으로 산출한다.
상환요구소득은 평균주택가격과 주택가격 대비 대출금액 비율, 월소득대비 월상환 가능금액 비율(25%로 설정), 원리금균등분할상환 계수 등으로 구한다.

특히, 주택대출의 90% 이상이 변동금리부 대출인 상황에서 앞으로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서울지역의 주택구입능력지수는 73.8까지 급락, 가계의 재무 건전성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전국의 주택구입능력 지수도 하향추세가 뚜렷하다.
2005년말 175.8에 달했던 전국의 주택구입능력 지수는 2006년말 160.7에 이어 올해 3월말에는 139.8로 떨어졌다. 앞으로 금리가 1%포인트 더 오르면 120.1까지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구입능력 지수가 계속 하락하는 것은 주택 소유자의 경우 주택가격과 가계의 소득에 비해 주택대출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을, 무주택자는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멀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표> 전국 및 서울지역 주택구입능력 지수(HAI)
┌────────────────┬──────────┬─────────┐
│ 연 도 │ 전국 │ 서울 │
├────────────────┼──────────┼─────────┤
│ 1997년말 │ 57.6 │ 56.5 │
├────────────────┼──────────┼─────────┤
│ 1998 │ 55.7 │ 54.7 │
├────────────────┼──────────┼─────────┤
│ 1999 │ 117.2 │ 94.7 │
├────────────────┼──────────┼─────────┤
│ 2000 │ 116.7 │ 88.8 │
├────────────────┼──────────┼─────────┤
│ 2001 │ 165,4 │ 121.2 │
├────────────────┼──────────┼─────────┤
│ 2002 │ 154.3 │ 103.7 │
├────────────────┼──────────┼─────────┤
│ 2003 │ 153.5 │ 100.6 │
├────────────────┼──────────┼─────────┤
│ 2004 │ 159.1 │ 103.9 │
├────────────────┼──────────┼─────────┤
│ 2005 │ 175.8 │ 114.4 │
├────────────────┼──────────┼─────────┤
│ 2006 │ 160.7 │ 101.2 │
├────────────────┼──────────┼─────────┤
│ 2007 3월말 │ 139.8 │ 85.9 │
├────────────────┼──────────┼─────────┤
│향후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120.1 │ 73.8 │
└────────────────┴──────────┴─────────┘

이광호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