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보호무역 조치로 우리나라 GDP 2.08% 감소
中 보호무역 조치로 우리나라 GDP 2.08% 감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중국의 對 한국 SPS 산업별 비중 변화 (표=한국경제연구원)

[서울파이낸스 윤은식 기자] 우리나라 수출품에 대한 중국의 비관세장벽 조치로 국내총생산(GDP)이 2.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중국 보호무역조치 확대 동향과 한국산업의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보복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경연은 무역기술장벽과 위생·검역 등 우리나라 수출품에 대한 중국의 비관세장벽 조치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중국의 보호무역조치로 대(對)중국 수출산업인 △화장품 △화학 △전자기기 △기계 △음식료품 산업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경우, 보호무역조치가 없을 경우에 비해 GDP가 2.08%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생산량의 경우 2.51%, 수출 3.37%, 수입은 1.24% 감소했다.

오경수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에 대한 중국의 비관세장벽의 산업별 관세상당치는 일반 관세에 비해 매우 높기 때문에 비관세장벽에 직면한 수출기업들이 느끼는 부담은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은 비관세조치로 인한 GDP 감소효과는 한·중 FTA의 실효성을 잠식할 수준"이라고 말했다.

오 부연구위원은 “특히 최근 한·중 정치적 상황 등과 맞물려 중국의 대한국 보호무역조치가 집중되는 상황에서 정부와 수출기업이 긴밀히 협조해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비관세장벽 및 무역구제 조치 지속

우리나라 수출품에 대한 중국의 비관세장벽 조치와 무역구제 조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부터 2016년까지 대한국 비관세장벽·무역구제 조치의 국가별 비중은 미국(12.2%, 3467건)에 이어 중국(7.2%, 2066건)이 두 번째로 높았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중국의 대한국 비관세장벽·무역구제 조치 누적비중은 4.5%(618건)로 금융위기 이후 증가 추세를 보였다.

한편, 우리나라에 대한 전 세계의 비관세장벽·무역구제 조치는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총 1만3647건에서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총 2만8398건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증했다.

오경수 부연구위원은은 "중국의 대한국 비관세장벽 조치는 무역기술장벽(슛)과 위생·검역(SPS)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비관세장벽 조치 유형별 산업비중을 보면 TBT의 경우 에너지업 중심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화학, 전기전자, 자동차 등으로 업종이 확대돼 주요 수출산업 전반에 적용되고 있었다. 위생 및 검역 조치의 경우 주로 식의약품 분야에, 반덤핑 조치는 화학분야에 집중돼 있었다.

오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주요 수출산업인 자동차, 화학, 전자기기, 기계, 음식료품에 중국의 비관세조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무역기술장벽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역기술장벽은 주요 수출산업인 화학, 전기·전자, 자동차 등에 집중돼 다른 비관세조치보다 관세상당치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영향이 가장 크다"며, "게다가 해당 수출업종의 무역구조는 소비재뿐만 아니라 중간재 비중이 높고 다른 산업으로의 파급효과도 매우 크기 때문에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