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증권 매각 '딜레마'…PEF·지주외 계열사 카드 만지작
SK증권 매각 '딜레마'…PEF·지주외 계열사 카드 만지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에셋대우·JB금융·DGB지주 등 인수 의사 접어
'금산분리' 강화 시한연장 가능성↓…SK케미칼 거론

▲ SK증권 사옥 (사진=SK증권)

[서울파이낸스 정수지 기자] 지분 매각시한이 코앞으로 다가온 SK증권을 두고 SK그룹의 장고(長考)가 계속되는 가운데 사모펀드(PEF) 매각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룹은 매각 유예기간 연장에 주력한다는 방침이지만 지주회사인 SK㈜가 새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금산분리 실험대에 오르면서 이 가능성은 현저히 낮은 상황이다. 이에 비지주 계열사가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도 조심스레 거론되고 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SK그룹은 공정거래법에 따라 올해 8월까지 SK증권 보유지분 10%를 팔아야 한다.

지난 2007년 지주회사로 체제로 전환한 SK는 SK증권 지분매각을 늦추다 2012년 지주외 계열사인 SK C&C에 지분 10%를 넘기며 문제를 해결한 바 있다.

이후 2015년 8월 SK(주)와 SK C&C의 합병으로 일반지주회사가 금융 자회사를 지배하지 못하도록 한 공정거래법에 따라 다시 매각 의무를 안게 됐다.

앞서 국내외 금융사가 SK증권 인수 의사를 밝히기도 했으나 최근 미래에셋대우가 공식적으로 인수전 불참을 선언하고, JB금융과 DGB지주 등 중소형사 역시 인수 의사를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 후보자들이 철수하고 SK그룹이 유일한 금융사인 SK증권에 대한 미련이 여전하다는 분석도 있어 경영과는 별개로 지분만 넘기면 되는 PEF가 이득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PEF 매각은 경영권 확보가 주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추후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고 지분을 되살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다만, 이 경우 파킹딜(일정기간 후 지분을 되사는 조건) 우려도 존재한다. 지난 2015년 현대그룹이 현대증권을 오릭스프라이빗에쿼티(PE)에 넘기려할 당시 이 같은 논란에 결국 오릭스 측이 백기를 든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다른 증권사에 매각하는 것보다 PEF에 매각하는 것이 SK의 정체성을 이어가는 최선의 방법"이라면서도 "파킹딜 논란을 피할 수 없는 만큼 진성매각 여부가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회사 측은 '확정된 바 없다'며 선을 긋고 있지만 공정거래위원회에 소명해 매각 유예기간을 연장하는 방법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유예기간 종료 시 사업손실이나 경제여건 변화 등 사유로 공정위의 승인을 얻으면 매각을 2년 더 유예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가 대기업 정책 원칙 중 하나로 '금산분리'를 강화하면서 이마저도 쉽지 않다. 게다가 2007년 지주회사 체제를 갖춘 후 4년 넘게 SK증권 처분을 미룬 상황에서 공정위가 2년 더 시간을 줄 가능성은 희박하다.

일말의 희망은 있다. SK가 보유한 SK증권 지분을 제3자가 아닌 지주사 외 계열사가 인수하는 방법이다. 과거 SK네트웍스가 SK C&C에 SK증권을 넘긴 것과 같은 방식으로, 현재 SK케미칼 등이 거론되고 있다.

SK증권 관계자는 "현재 매각과 관련해 결정난 사항은 없다"며 "모든 것은 그룹 측이 판단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