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68% "퇴근하면 녹초"…'근로시간 단축'보다 '정시퇴근' 선호
직장인 68% "퇴근하면 녹초"…'근로시간 단축'보다 '정시퇴근' 선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온라인속보팀] 젊은 직장인 3분의2는 퇴근하면 아무것도 못할 만큼 녹초가 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직장인들은 근로시간 단축이나 유연근로보다 정시퇴근(칼퇴근)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특정 금요일에 한해 4시 퇴근제를 도입해 소비를 촉진해보겠다는 정부 정책의 실효성에 의구심이 제기된다.   

26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20∼40대 직장인 2천명을 상대로 설문한 '2040세대 취업남녀의 시간사용과 일·생활에 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67.8%가 '일을 하고 나면 지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답했다. '매우 그렇다'는 직장인이 12.0%, '그렇다'는 답변이 55.8%였다.

일로 인한 소진감은 여성(71.4%)이 남성(65.1%)보다 더 컸다. 월수입 200만원 미만인 경우 70.3%가, 500만원 이상 고소득자는 60.9%가 퇴근 이후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해 소득이 낮을수록 더 피곤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서도 쉴 틈이 없다'는 응답은 52.4%로 절반이 넘었다. 여성(55.5%)과 30대(57.8%)가, 배우자가 있거나(62.3%) 맞벌이(66.2%)일수록 퇴근 이후 더 바빴다. 영유아 자녀가 있는 경우는 68.6%가 귀가 이후에도 분주하다고 답해 육아 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평소 '가족과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해 아쉽다'는 답변도 77.4%였다.

일·가족·개인 생활의 이상적 시간배분 역시 현실과 괴리가 컸다. 답변을 평균해보면 직장인들은 수면과 휴식·여가를 포함한 개인생활에 47.1%를 사용하고 근로시간과 가족생활시간에 각각 29.6%, 23.2%를 쓰길 원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주어진 시간의 42.6%를 일하는 데 썼고, 개인생활은 41.4%, 가족생활시간은 16.0%밖에 안 됐다.

직장인들은 이런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줄이고 희망에 가깝게 시간을 나눠쓰려면 가장 먼저 정시퇴근 보장(66.0%)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유급휴일·연차 사용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도 53.9%로 집계돼 기본적 근로조건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데 불만이 컸다.

업무량 감축을 동반한 근로시간 단축(42.0%)이나 근로 시간·장소의 유연한 조정(40.7%)은 칼퇴근 요구에 못 미쳤다. 정시퇴근 요일을 지정한 '가족사랑의 날' 등 프로그램을 확대·강화해야 한다는 응답(22.1%)은 업무 시간 이후 문자·연락·지시를 금지해야 한다(38.0%)는 의견보다 적었다.

여성정책연구원은 '양성평등기본법 시행에 따른 가족정책의 이슈와 과제' 보고서에서 "법정 노동시간 준수 등 기본권리를 보장하는 조직문화 정착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며 국내에도 최소 휴식 보장제도 논의가 있고 일명 '퇴근후 업무 카톡 금지법'이 국회에 발의된 상태여서 관련 논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