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 항공사, 안전관리 미흡…정비 위탁업체 의존
저비용 항공사, 안전관리 미흡…정비 위탁업체 의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국내 저비용항공사 6곳에 대한 '특별안전점검' 결과 안전운항을 위한 제반 시스템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장필경기자] 저비용 항공사(LCC)들이 항공기 정비와 종사자 교육훈련 등을 위탁업체에 의존해 교육을 형식적으로 진행하는 등 안전관리를 소홀히 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국내 저비용항공사 6곳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안전관련 조직과 기능, 전문인력 및 장비·시설 확보 등 안전운항을 위한 제반 시스템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저가 항공사들이 선진 안전시스템을 도입했으나 전문성 부족으로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았고 현장에서 기본적인 절차·규정을 이행하지 않은 사례도 적발됐다.

국토부는 "실제 조종사 비행자료분석이 부실해 조종사 재교육 등 체계적인 사후조치에 문제점이 발견됐으며 항공기 정비나 종사자 교육훈련 등을 위탁업체에 의존하는 등 형식적으로 이뤄진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특히 반복발생 결함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이 미흡하고 정비 이월 등 필수점검도 미수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항공사 잠재위험을 나타내는 '항공안전장애'는 작년 1분기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항공기 고장으로 인한 안전장애는 전년대비 94%나 증가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제주항공 객실 여압장치 이상으로 비정상운행이 발생했으며 지난 1월에는 진에어 항공기 출입문 이상으로 회항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하는 등 저비용항공사의 안전이 이슈로 떠올랐다.

이와 관련해 황교안 국무총리는 지난 4월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를 통해 "항공사별 안전도 평가결과를 공개하고 운항노선 배분에 반영하는 등 안전 경영 관행이 정착되도록 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하면서 저비용 항공사의 안전 문제를 확실히 뿌리 뽑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하지만 일부 업체는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계열사의 경우 대기업은 자체 정비를 보유하고 있어 함께 안전 정비를 진행하지만 나머지 업체들은 중장비 관련해 국내 업체가 없을 경우 해외업체에 위탁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저비용 항공사는 비용 절감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구조로 가동률을 계속해서 높이거나 안전에 대한 투자를 줄임으로써 경쟁력 확보한 측면이 있다"며 "추후 안전 만큼은 비용 절감의 대상에서 제외시켜 투자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