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개통 효과 "예전만 못하네"
지하철 개통 효과 "예전만 못하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나민수기자]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의 발달과 자가 차량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수도권의 지하철 개통효과도 예전만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전철) 개통은 대규모 개발 사업과 함께 가격을 이끄는 확실한 재료로 손꼽히지만 최근 개통한 지역의 집값은 전셋값만 올랐을 뿐 매매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00년 이후 개통된 수도권 지하철(전철)은 △지하철 7호선(2000년) △지하철 6호선(2000년) △분당선1,2차(2003~2007년) △지하철 9호선(2009년) △신분당선(2011년)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2015년) △신분당선 2단계 구간(2016년) 등이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개통 전후 반짝 효과와 함께 이후에도 수요가 몰리면서 개통 특수를 톡톡히 누렸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은 1990년 12월에 착공해 1996년 10월에 장암~건대입구 구간이 1차 개통됐다. 이어 2000년 2월에 신풍~온수 구간이 개통됐고 같은 해 8월 건대입구와 신풍을 잇는 노선이 개통되면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전 구간이 개통 완료됐다.

이에 따라 교통여건이 크게 개선된 광명시의 경우 개통 이후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 모두 두 자리수 이상의 상승률을 보이기도 했다.

2000년 후반에 개통한 지하철 6호선 역시 가격 상승시기와 맞물리면서 개통시점 가격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여기에 서울 강북권과 마포 등 도심권역을 연결하는 지역적 특성도 크게 작용했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전철) 개통에 앞서 개발 발표와 착공, 개통 시점에서 가격 상승 압력이 크게 작용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개통 효과가 크게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지하철을 비롯해 BRT 등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이 발달했고 자가차량을 이용하는 비중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2010년 전후로 개통된 수도권 수요 노선의 경우 부동산시장 침체기와 맞물리면서 개통 효과가 빛을 바랬다.

지하철 9호선(1단계), 신분당선(1단계), 지하철 7호선(2단계) 등은 개통 전후로 반짝 효과는 일부 있었지만 개통 이후 뚜렷한 매매가격 상승 없이 전셋값 위주로 오름세가 나타났다.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의 경우 아파트 전셋값과 함께 매매가격도 동반 상승했지만 주택시장의 회복세가 힘을 크게 보탰다.

수도권 지하철(전철) 구축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개통 효과가 예전만은 못하지만 그래도 내집마련 실수요자라면 관심을 가져 볼만하다고 업계는 조언한다.

올해는 이미 신분당선 2단계 구간이 개통됐고 이어 수인선(송도~인천), 성남-여주 복선전철(쌍동~여주), 인천도시철도 2호선(인천대공원~오류동), 수도권 고속철도(수서~지제), 서울경전철(우이~신설) 등이 첫 운행을 앞두고 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노선 및 지역에 따라 개통 효과가 다르겠지만 그 동안 교통 여건이 열악했던 곳이나 주요 업무시설로 연결되는 노선 들은 주택 수요가 꾸준할 수 있는 만큼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며 "새로운 노선이 지나면서 환승역으로 탈바꿈하는 역 주변도 관심대상이다. 역을 이용하는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임대 목적의 상가나 오피스텔 투자를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