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임 바닥·수주 가뭄' 해운·조선, 동반침체 "어쩌나"
'운임 바닥·수주 가뭄' 해운·조선, 동반침체 "어쩌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사진=현대상선

세계 경기침체로 벌크선 수요 감소…선박수주 5위권 밖으로 밀려

[서울파이낸스 황준익기자] 세계 경기침체와 장기 저유가로 국내 해운·조선업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컨테이너 운임지수는 연일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고 조선사들의 수주잔량은 중국에 밀리는 상황까지 연출됐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간) 벌크선운임 지수(BDI)는 301로 전날 보다 소폭 상승했다. BDI는 지난 4일 300선이 무너진 후 11일에는 역대 최저치인 290까지 떨어졌다. 2008년 5월 BDI가 1만1793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SCFI) 역시 2014년 1200까지 올랐지만 현재는 500대에 그치고 있다.

원유나 석탄·철광석 같은 원자재를 실어 나르는 벌크선은 세계 경기침체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심각한 공급과잉을 겪고 있다. 운임은 수요와 공급의 원칙이 적용됨에 따라 쉽게 운임이 상승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해운업체들의 수익으로 직결되는 운임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국내 양대선사인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은 모두 적자를 기록했다.

한진해운은 지난해 4분기 188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흑자를 이어갔지만 운임하락 등으로 실적이 악화됐다. 부채비율도 848%에 달한다.

현대상선은 지난해 영업손실 2535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7.9% 줄었다. 당기순손실도 4434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모두 2013년 말 자구안을 발표한 뒤 비핵심 자산을 매각하고 원가 줄이기에 집중해왔다. 최근에는 용선료를 낮추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현대상선은 현대증권과 부산신항만터미널, 벌크전용선 등을 팔고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사재 출연을 담은 추가 자구안도 내놨다.

하지만 높은 용선료와 하락세인 운임으로 유가하락에도 불구 해운업황은 살아날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해운업체들의 노력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기 어려운 이유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해운업체들이 대부분의 선박을 매각해 용선료 부담이 상당하다. 선복량도 부족한 상태"라며 "이런 불황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선주협회 관계자는 "해운기업에 대한 신규자금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데다 대형선사에 대한 무리한 구조조정 강요로 핵심자산 매각에 따른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며 "선박에 대한 신규투자 중단으로 원가경쟁력이 악화된 것도 해운위기 극복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해운업의 침체는 조선업으로 이어졌다.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세계 선박 수주 잔량은 1억608만CGT(표준화물 환산톤수)로 전달보다 365만CGT 감소했다.

특히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이 3874만CGT로 1위였고 한국(2913만CGT), 일본(2251만CGT) 순이었다. 한국의 수주잔량이 3000만CGT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3년 1월 말 이후 3년 만이다. 조선사의 수준잔량 순위에서도 '톱5'를 유지했던 국내조선사들은 5위를 중국 상해외고교조선에 내줬다.

지난달 선박 발주량도 전무했다. 우리나라가 선박을 1척도 수주하지 못한 건 2009년 9월 이후 처음이다. 반면 중국은 10척(32만CGT)를 수주했다.

한종길 성결대학교 동아시아물류학부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는 해운업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선종에 대응할 수 있는 조선업 생태계를 갖고 있지 않다"며 "조선 빅3뿐만 아니라 중소조선사들도 전부 대형컨테이너만 만들어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반면 일본은 대형·중소형·특수 등 역할분담이 확실히 돼있고, 정부가 금융 지원도 확실해 2018년까지 일감이 다 차있다"며 "일본이 자국의 조선업과 해운업을 세트로 세계해운조선경기를 조율하면서 세계 최대의 조선 및 해운국 지위를 구축했다는 점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황보승면 부산대학교 교수 역시 "현재 조선·해운업은 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칭이 불황의 핵심이므로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룰 때까지는 정부의 금융지원 등이 필수적"이라며 "장기적인 국가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선제적인 구조조정 및 중소조선소들의 특화영역 위주의 경쟁력 강화 방안들이 논의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