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밀어내기'…미분양 공포에도 아랑곳?
건설사 '밀어내기'…미분양 공포에도 아랑곳?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규 아파트 분양 6만4904가구…美 금리인상·총선 불안요인 작용

[서울파이낸스 나민수기자] 최근 아파트 미분양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건설사들이 연초부터 대량 물량을 쏟아내고 있다. 올 하반기로 갈수록 주택시장의 불안요인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2일 부동산114, 부동산인포 등에 따르면 2~3월 전국에서 공급을 앞둔 신규 아파트 분양 물량은 총 6만4904가구(임대제외)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3만7637가구 △광역시 9597가구 △지방 1만7670가구 등이다.

수도권 물량의 경우 2월보다는 봄 이사철을 앞둔 3월에 집중돼 있다. 수도권 2~3월 물량은 작년 같은 기간에 계획됐던 9921가구에 비해 2만7716가구가 늘었으며, 총 계획된 분양물량 3만7637가구 중 약 85%에 해당하는 3만1297가구가 3월에 나온다.

1월 분양된 1만11186가구를 포함하면 1분기에만 7만6090가구에 달한다. 이는 올해 건설사들이 분양을 앞둔 물량(31만9889가구)의 24%이며 작년 1분기(4만3928가구)보다 73%가 늘어난 수치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로 밀어내기 분양이 집중됐던 2008년(2만3600가구)보다도 222% 증가한 수준이다.

▲ 사진=서울파이낸스

이처럼 건설사들이 1분기에 분양물량을 쏟아낸 것은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와 금리인상, 4월 총선 등 불안요인에 따라 시장이 냉각되기 전에 가능한 많은 물량을 털어내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권일 리서치 팀장은 "여러 불안요인으로 부동산시장 전망이 불투명한 상태라서 설 연휴가 지나면 오는 4월 총선 전까지 건설사들이 대거 분양물량을 쏟아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에 건설사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분양가격을 하향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신규 아파트 분양가는 기존 아파트 평균 가격의 123% 수준이다. 지난해 상반기 134%에서 하반기에는 124%로 10%p 줄었다.

주산연 관계자는 "소비자가 부담 가능한 심리적 한계선은 평균 118%다"며 "적정 분양가 책정은 건설업체의 미분양 위험을 줄이고 주택시장 건전성과 지속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장 상황은 녹록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12월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전월(4만9724호)대비 23.7%(1만1788호) 증가한 총 6만1512호로 집계됐다.

지난 10월 3만2221호에서 두달만에 90.9%나 급증한 것이다. 이는 지난해 10월과 11월에 분양물량이 대거 집중됐고 연말까지 물량 공세가 계속된 영향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수백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한 단지가 나온 동탄2신도시에서는 11월부터 미분양물량이 쌓이기 시작하더니 지난달 14일에는 신안종합건설이 공급한 신안인스빌 리베라 3·4차의 입주자 모집승인을 취소하기도 했다. 지난해 분양을 실시한 이 단지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0.5대 1에 불과했다.

부영주택의 경우 지난해 동탄2 신도시 A31 블록에 분양한 '부영 사랑으로'의 분양가를 2000만~3000만원 할인하고 있다. 이 단지는 현재 계약률이 50%에도 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대출규제 강화 등으로 수요자들의 주택구매 관망세도 지속되고 있다. 리얼투데이가 최근 수도권 거주 30~65세 주택 수요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6년 주택시장 전망' 설문 결과 서울·수도권에 거주하는 주택 구매 의사가 있는 수요자 가운데 2명 중 1명은 2018년 이후를 적정 구매 시점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과잉 등에 대한 업계의 우려에 대해 정부는 여전히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택보급률이 노후화된 주택 등을 고려하면 110%는 돼야 시장이 안정적이라는 분석도 있듯이 어느 정도까지는 공급이 계속돼야 한다고 본다"며 "건설업체들이 거시경제나 가계부채 상황에 맞춰 자율적으로 (공급을) 조절하려는 의지가 있어 (공급과잉이) 시장에서 자연스레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