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양가' 논란에도 잇단 흥행몰이…왜?
'고분양가' 논란에도 잇단 흥행몰이…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실수요자 외 전매차익 노린 투자수요 몰려"

▲ 해운대 엘시티 더샵 조감도. 사진=포스코건설

[서울파이낸스 나민수기자] 최근 국내 아파트 분양 사상 처음으로 3.3㎡당 분양가가 7000만원이 넘는 아파트가 나오면서 분양시장의 고분양가 논란이 일고 있지만 실제로는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하고 있다. 업계는 이같은 흥행몰이에 배경에 전매차익을 노린 투기수요가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건설이 부산 해운대구 주동에 건설하는 '해운대 엘시티 더샵' 주상복합 아파트의 분양가는 3.3㎡당 평균 2730만원에 책정됐다. 3.3㎡당 평균 분양가로 보면 과거 부산 지역 최고가를 기록했던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3.3㎡당 평균 1700만원선)를 1000만원 이상 웃돈다.

해운대 엘시티는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동쪽 6만5934㎡ 부지에 101층짜리 랜드마크타워 1개 동과 85층짜리 주거타워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주거 동은 전용면적 144~244㎡, 총 882가구로 지어진다.

이 중 펜트하우스인 전용면적 244㎡(2가구)의 분양가는 67억9600만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높은 값에 분양됐던 성동구 성수동1가 '갤러리아 포레' 공급면적 377㎡의 분양가인 52억5200만원(3.3㎡당 4605만원)을 크게 웃돈다.

3.3㎡당 분양가 역시 역대 아파트 중 처음으로 7000만원을 넘어섰다. 팬트하우스의 3.3㎡당 분양가는 7002만원으로 지난해 9월 분양한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2차' 전용 112㎡(3.3㎡당 약 5000만원)와도 차이가 크다.

대우건설이 삼호가든4차 아파트를 재건축한 '반포 센트럴 푸르지오 써밋'도 고분양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반포 센트럴 푸르지오 써밋은 지하 3층 지상 35층 아파트 8개동 규모로 전용면적 49㎡~133㎡ 751가구가 들어서며 3.3㎡ 당 분양가는 최저 3600만원대부터 최고 4300만원대다.

다음달 분양을 앞둔 GS건설 '신반포자이', 현대산업개발·삼성물산 '반포 래미안아이파크', 대림산업 '아크로리버뷰' 등도 3.3㎡당 4200만원~4300만원 수준으로 기존 아파트보다 1000만원 높은 수준에서 분양가가 책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잇단 고분양가 논란에도 청약행진은 꺾이지 않고 있다.

지난 14일 1순위 청약결과 엘시티 더샵은 839가구(특별공급 43가구 제외) 모집에 1만4450명이 몰려 평균 17.2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택형별로 244㎡D 4가구는 24대 1, 244㎡E 2가구는 68.5대 1을 기록했다. 264가구를 모집한 144㎡는 35.65대 1, 287가구가 공급된 161㎡는 8.43대 1의 경쟁률을 각각 기록했다. 186㎡의 경쟁률은 8.46대 1이었다.

대우건설 '반포 센트럴 푸르지오'의 경우 15일 1순위 청약 결과 171세대(특별공급 제외) 공급에 총 3614건이 접수돼 평균경쟁률 21.1대 1로 1순위 마감됐다. 최고경쟁률은 1세대 공급에 131건이 접수돼 131대 1을 기록한 84A타입에서 나왔다.

앞서 지난해 9월 분양된 대림산업의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2차'는 3.3㎡당 평균 4130만원의 분양가를 책정됐지만 일반 분양 189가구 모집에 3375명이 몰리며 흥행에 성공했다.

이처럼 청약이 몰리는 이유는 민간택지의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 각종 규제가 완화된 데다 자산가를 중심으로 하는 실수요자 외에 전매 차익을 노린 투자 수요가 상당수 몰렸기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실제로 부산의 경우 전매차익을 노린 전국 각지의 투자자들이 몰려들면서 14일 1순위 청약을 마친 '해운대 엘시티 더샵', '협성휴포레 부산진역 오션뷰', '해운대 센텀경동리인' 등 3개 단지에 접수된 1순위 통장은 8만9578건으로 평균 청약경쟁률이 최고 255대 1을 기록하는 등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모든 아파트 청약현장에는 허수가 상당하다"며 "청약자 상당수는 실수요자가 아닌 전매차익을 노린 투기수요일 것으로 실제 계약 여부를 확인해야 최종 분양성적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업계 일각에서는 가수요를 막는 규제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은 "지방의 경우 지방자치단체별로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을 두고 청약 자격요건을 강화하는 방식 등을 통해 가수요를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