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ELS 규제의 부작용
[기자수첩] ELS 규제의 부작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소윤기자] "ELS(주가연계증권) 대한 무조건적인 규제를 보면 금융선진국으로의 도약은 멀게만 느껴집니다" (A증권사 관계자)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ELS를 비롯한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관심이 과거 여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ELS에 대한 규제 고삐를 더욱 조이는 모습이다. 시중자금이 물밀듯 몰리면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미리 대비하자는 차원이다.

특히 최근 중국증시 급락으로 홍콩항셍지수(HSCEI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 상품 중 일부가 녹인(손실구간)에 진입하면서 증권사들도 관련 ELS 발행을 잠정 중단한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런 당국의 행보를 이해한다는 목소리도 나오지만 규제 일변도의 정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위험하니 투자를 자제하라'는 것 자체가 금융투자상품의 핵심을 비켜선 '아이러니'한 조치라는 지적도 나온다.

오히려 지수급락에 따른 저렴해진 가격을 고려하면 투자 비중을 더 늘려야 할 때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결국 투자자 입장에서는 저가 매수 기회를 원천봉쇄 당하는 꼴로 '금융선진국에선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불만 섞인 목소리가 적지 않다. 최근 세계적 투자자 조지 소로스가 알리바바 주식을 팔고 홍콩 H주식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지분을 늘린 것 역시 당국의 행보와 대비된다.

특히 전문가들은 녹인이 발생했다 해서 바로 손실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우려 역시 과도하다고 지적한다. 사실 지수형 ELS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손실 상환된 적이 한 번도 없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펀드보다 안전한 상품으로도 꼽힌다. 이는 계속되는 저금리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일부 생명보험사들로 하여금 퇴직연금이나 변액보험에 대규모로 ELS을 편입시킨 배경으로도 작용했다.

교보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ELS 말고는 다른 상품에 대한 대안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이 상품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또 강화되는 규제 등으로 증권사의 신규 상품 출시에 대한 의욕마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난관을 돌파시킬 수 있는 대안책이 여느 때보다 시급하다"고 밝혔다.

사실 국내에서는 ELS 외에 특별한 투자상품을 찾기 힘든 상황이다. 미국과 유럽 등은 이미 변동성을 기초로 한 파생상품이 많기 때문에 ELS에 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ELS 쏠림현상의 주된 배경이기도 하다.

시장에 대한 관리감독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금융당국의 주된 역할임은 부인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금융투자에 대한 기본은 '리스크 테이킹'이라는 점에서 규제 일변도의 정책은 시장발전에 역행할 수밖에 없다. ELS마저 개인투자자들이 등 돌린 선물·옵션시장과 동일한 길을 가서는 안될 일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