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은퇴연구소 "연금도 글로벌 투자 시대"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연금도 글로벌 투자 시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연금의 글로벌 투자에 관한 내용을 담은 '은퇴와투자' 40호를 발간했다.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서울파이낸스 고은빛기자]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10일 연금의 글로벌 투자에 관한 내용을 담은 '은퇴와투자' 40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우리 노후자금의 상당 부분은 앞으로 연금이 책임지게 되지만 문제는 연금을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달렸다는 지적이다. 이에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초저금리 시대에 연금을 글로벌 자산으로 분산해야 하는 이유를 4가지로 분석했다.

첫째, 우리나라처럼 제조업에 토대를 둔 수출국가는 '잃어버린 10년'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일본과 대만이 이미 그 길을 걸었다. 1990년에 두 나라의 주가는 고점을 기록한 뒤 대만 주가는 30%, 일본은 60% 떨어졌다.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수출국가의 글로벌 기업이 해외투자를 늘리면 자연스레 국내 투자 수요는 줄어들고, 환율은 강세가 돼 국내 기업의 성장률은 하락하게 된다.

둘째,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소수 기업에 집중돼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다. 핀란드의 대표기업인 노키아는 한때 핀란드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노키아의 주가는 급락, 핀란드 주가지수도 고점대비 65% 하락했다. 우리나라도 삼성전자, 현대차 그룹이 주식시장에서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중이 30% 정도에 이르는 만큼 자금의 분산이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의 제조업 경쟁국들이 기운을 차려 복귀하고 있다. 중국이 제조업 경쟁자로 나섰을 뿐 아니라 일본, 독일, 미국과 같은 선진국도 경쟁자로 부활하고 있다. 경쟁력을 회복한 글로벌 기업에 투자를 하면 국내에서 찾기 힘든 투자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령화에 따른 수요 부족이다. 고령화는 노동 공급이 줄어드는 것뿐만 아니라 수요 감소도 초래한다. 우리나라의 생산가능인구 비중(15~64세)은 2010년 73%에서 2030년에는 63%로 20년 동안 무려 10% 포인트나 줄어든다.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65세 이상 인구비중도 2010년 11%에서 2030년에는 24%로 계속 증가한다. 좀 더 젊고 성장하는 국가에 자산을 분산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글로벌 투자의 필요성은 커지고 있지만, 연금의 글로벌 투자비중은 다른 나라에 비해 유독 작다. 실제로 미국 등 주요국가의 연금자산의 글로벌 투자 비중은 30%에 달하지만, 우리나라는 0.6%에 불과하다.

행동재무학자들은 그 원인을 심리적인 요인 때문으로 해석한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연금의 글로벌 투자를 방해하는 3가지 장애요인을 ▲국내자산선호 편향 ▲과거 투자경험 ▲부작위 편향으로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했다.

최근 연금을 글로벌 자산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조사한 연금상품별 글로벌 투자 세부현황을 살펴보면 컨슈머주식형, 글로벌 주식 분산투자형, 글로벌 채권 분산투자형에 가장 많이 가입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록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소장은 "국내 금리상품에 편중돼 있는 자산에서 글로벌 자산의 비중을 대폭 높여 글로벌로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장기적으로 승부해야 한다"며 "평안한 노후의 첫걸음이 연금자산이라면 그 첫 단추는 연금자산의 글로벌 분산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