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채권 정착, 유동성 확보가 관건"
"위안화채권 정착, 유동성 확보가 관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예탁원 창립 40주년 기념 세미나

[서울파이낸스 고은빛기자] 위안화 채권시장이 국내 정착하기 위해서는 국제적 투자자를 유치해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7일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글로벌시대의 예탁결제산업 발전방향' 세미나에서 안유화 자본시장연구원 박사는 "위안화채권의 경우 국제 투자자를 유치하려면 비용이 되는 세금 측면에서 보유기간 과세 이슈를 해결해야 한다"며 "대만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비과세 제도를 내놓고 있다"고 주장했다.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중국에 대해서만 위안화채권을 보유기간 과세 면제하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고 봤다. 안 박사는 "중국에서 원화 직거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특구를 지정하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며 "한국은 자체적으로 수요가 커질 수 없는 만큼 글로벌 수요를 늘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경우 위안화 예금에서부터 발달하는 것보다는 위안화 금융부터 발전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분석이다.

정신욱 중국 초상증권 한국대표는 "후강통과 RQFII가 먼저 발달하고 위안화 수요 촉발시켜서 위안화결제 확대되는 흐름이 오히려 더 타당해 보인다"며 "후강통 규모가 계속 확대돼 나갈 것인 만큼 유로클리어와 예탁원이 시스템적 연결을 통해 중국 금융기관에 한국 국채를 담보로 제공하게 되면 효율성 증진에 획기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알톤 찬 클리어스트림 은행 북아시아 대표도 "유동성은 위안화 시장 구축에 있어 필수적인 만큼 한국도 적절한 증권시장을 구축, 위안화 유동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후강통은 거래 플랫폼을 연결하는 만큼 쿼터를 정해서 거래하도록 하고 홍콩 역외위안화와 본토 위안화증권도 매수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최근 한국에서 출범한 위안화 청산은행에 대해선 이미 2010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해외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황덕 중국은행 서울지점대표는 "한국의 시중은행과 중국은행이 이미 많이 해왔고, 해외에서 전체 20% 중국은행이 청산을 맡아서 하고 있다"며 "향후 양국 간 FTA를 체결하면 위안화 채권을 더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피력했다.

이어 "빠른속도로 위안화가 성장하고 있는 만큼 위안화 직거래가 가능하면 파생상품까지 넓어지고, 시장도 활성화될 수 있다"며 "한국에선 아직 위안화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 없지만 신상품 개발이 절실하고, 가능성도 무한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