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자산 68% 부동산…국가경제 위험요소"
"가계자산 68% 부동산…국가경제 위험요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성재용기자] "우리나라는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실물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부동산에 치우친 가계 자산구조는 부동산 가격 하락시 가계 부실이 늘어날 여지가 있기 때문에 국가 경제 차원에서 잠재적인 위험요인입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우리나라 가계자산 대부분이 부동산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13년 우리나라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의 비중은 73.3%(2억3856만원)다. 전체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67.8%로, 전년대비 1.9%p 줄었지만 한국인의 돈줄이 여전히 부동산에 묶여있음을 시사한다.

이 같은 부동산 쏠림현상은 국가 간 비교를 할 경우 극명하게 드러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 비중(2012년 기준)은 호주 61.3%, 유로존 58.3%, 영국 50.1%, 일본 40.9%, 미국 31.5% 등이다.

문제는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주택가격이 더 내려갈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금융기관의 건전성은 물론, 국가경제에서 잠재적인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00~2007년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연평균 6.6%(아파트 9.3%) 증가해 소비자 물가상승률(3.1%)을 웃돌았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2008~2013년)에는 전국 주택매매가격이 연평균 2%(아파트 2.6%)로 둔화됐다. 이 과정에서 60세 이상 가구의 부동산 평가액(실질가격)은 2006년 2억7000만원에서 2012년 2억원으로 감소했다.

고기영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에 부동산을 구입했던 은퇴 연령층이 가격 하락으로 보유자산이 감소하면서 노후 대비 자산이 갑작스럽게 줄어든 상황"이라며 "부동산 불패 신화가 끝났다는 점을 앞으로 노후 대비에 참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상철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도 "고령자가 은퇴 후 소비수준을 유지하려고 주택 매도를 늘리면서 주택가격이 급락할 수 있다"며 "노령인구 대부분이 자가 거주를 원하는 만큼 주택연금 상품을 이용, 부동산 일부를 매도하고 노후 소득으로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