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2천대 시대…충전 인프라·방식 통일 '과제'
전기차 2천대 시대…충전 인프라·방식 통일 '과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서귀포시 대형마트 주차장 내 급속 충전 시설 (사진 = 송윤주기자)

높은 가격도 부담...지원금 끊기는 내년이 '관건'

[서울파이낸스 송윤주기자] 전기로 가는 자동차가 눈 앞에 현실이 됐다. 지난해부터 르노삼성,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등이 국내에 전기차를 내놨고 올해 닛산 리프, BMW i3, 기아차 쏘울EV 등이 추가돼 총 6종의 전기차가 경쟁을 벌일 예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가솔린이나 디젤 모델에 비해 높은 차량 가격이나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전기차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고 있는 곳은 제주도다. 지난 15일부터 21일 7일간 열린 '제1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는 5만명에 가까운 관람객이 몰리며 전기차에 대한 도민과 지자체의 열망을 증명했다. 제주도는 지난해 전기차 민간 보급 선도 도시로 선정돼 160대를 보급했으며 올해 약 500대를 추가로 보급할 계획이다.

 

▲ 지난 17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 한라홀에서 열린 한국전기자동차리더스협회 창립포럼에서 관계자들이 토론을 진행 중이다. (사진 = 송윤주기자)

지난 17일 엑스포가 열린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는 한국전기자동차리더스협회가 창립포럼을 마련, 전기차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전기차를 보유한 완성차업체와 충전사업체, 한국전력공사와 한국환경공단 등 정부 관계자들이 모였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전기차 활성화를 위해 충전 인프라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완속 충전기의 경우 세계 흐름에 맞춰 AC 단상(5핀) 방식으로 거의 통일됐지만 급속 충전기는 DC차데모, AC3상, DC콤보 타입1 등 전기차 업체마다 다른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충열 한국환경공단 과장은 "집에서 충전할 때는 완속 충전기로 충분하지만 주행거리가 길지 않은 전기차의 기동성을 늘리려면 급속 충전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며 "급속 충전방식이 통일돼지 않아 비용이 3배 이상 들기 때문에 인프라 구축이 더디다"고 지적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충전 및 배터리 문제가 고장 이유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짧은 주행거리와 충전시설 확충 등을 개선해야할 문제점으로 꼽았다.

실제로 전기차를 타고 제주도를 돌아다녀보니 급속 충전소가 많지 않아 장거리 주행이 어려웠다. 완속, 휴대용, 가정용 충전기는 완충하려면 최소 4시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주차를 오래할 수 없을 때에는 이용할 수 없었다.

 

▲ (사진 = 송윤주기자)

제주도에서는 포스코ICT, 환경부, 한국전력, SK, GS 등 5개의 사업체들이 충전기 사업을 진행 중인데 현재 도내에 설치된 급속 충전기는 방식별로 2~3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업체들 간 경쟁이 치열해 엑스포 현장에서도 서로 충전 인프라 구축 계획을 명확히 공개하지 않으며 눈치를 보는 분위기였다. 충전 시설이 확충되지 않으면 소비자가 고스란히 그 불편을 떠안아야 하기 때문에 전기차 시장의 성장이 늦어질 수 밖에 없다.

비싼 차량 가격도 전기차가 경쟁력이 떨어지는 이유 중 하나다. 전기차 가격은 가장 저렴한 레이EV가 3500만원이며 BMW i3는 6400만원을 넘는 가격에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기름값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지만 높은 차량 가격은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물론 현재는 국고 보조금 1500만원에 지방자치단체마다 300만~90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해주기 때문에 가솔린 차량과 비슷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지만 주행거리가 짧고 충전이 불편하다는 점은 여전히 구매를 망설이게 한다.

게다가 국고 보조금이 올해를 마지막으로 끊기기 때문에 전기차는 당장 내년부터 홀로서기를 해야 한다. 환경부는 보조금 대신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라 보조금과 부담금을 책정하는 저탄소협력금제도를 시행하기로 했다. 배기량이 높은 차를 구매한 소비자에게 걷은 부과금을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낮은 차량에 지급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중대형 세단을 볼륨 모델로 삼고 있는 국내 주요 완성차업체들이 당장 이 제도로 손해를 보게 돼 제도 시행에 난항이 예상된다.

친환경차 시장이 확대될 것은 분명한 추세다. 미국과 유럽 등 해외 국가들이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내년까지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140g/km로 올리고 수도권 저공해차 의무보급제도 등을 시행할 계획이다.

한 완성차업체 관계자는 "전기차가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충전 시설을 확충하고 보조금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경쟁을 통해 배터리 성능을 개선하고 차량 가격을 낮춰야 한다"며 "연구개발을 통해 제작 단가가 낮아지지 않으면 전기차는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부담스러운 존재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