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동 예탁원 사장 "민간출신 강점 살리겠다"
김경동 예탁원 사장 "민간출신 강점 살리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양종곤기자] "금감원 출신만 감사업무를 잘한다고 볼수는 없지 않습니까. 오히려 민간 출신이 경직된 공기업 문화를 넘어 사기업 특유의 자유스럽고 폭넓은 경영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6일 열린 한국예탁원 사장취임 기자간담회에서 김경동 사장은 특유의 논리적 화법으로 민간출신으로서의 부담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김 사장은 이수화 전 사장에 이은 2대 민간출신 사장으로 지난 1969년 우리은행에 입행한 뒤, 2008년 우리투자증권 사외이사를 거치는 등 은행과 증권업무를 두루 섭렵한 '금융통'이다.

사실 그동안 증권가에서는 관료출신 유관기관장에 대한 '낙하산 논란'이 끊이지 않아왔다. 지난 2000년대 초에는 당시 예탁원은 물론 증권거래소, 증권전산, 증권금융 등 모두 정부 관료 출신이 요직을 차지했다.

특히 코스콤과 함께 예탁원은 신임 사장 인선을 두고 노조 측과 갈등도 다반사였다. 심지어 지난 2001년에는 예탁원 주주총회를 통해 신임사장과 상임감사를 선출하려고 했으나 노조 측이 재경부관료 출신의 경영진 선임을 비난하며 주총장을 점거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수화 전 사장도 지난 2008년 선임을 앞두고 정부와 정치권 고위 관료와 학연, 지연으로 얽혀있다고 주장한 노조 측 반대에 부딪혀 주총을 연기하는 등 홍역을 치르기도 했다.

그렇다고 민간 출신이 후한 점수를 받아온 것도 아니다. 역으로 유관기관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서는 '관료' 출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돼 왔다.

결국 사기업과 판이한 공기업 업무체계, 문화 접목 등을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느냐가 유관기관에 입성하는 민간 출신 사장들에게 주어지는 최대 임무였다.

김 사장 역시 재량권 등에 있어 공기업의 경직된 의사결정 구조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는 "공기업은 경직됐고 규제가 많다는 것을 느꼈다"며 "사장에게 주어진 재량권도 사기업과 달리 한정됐다"고 지적했다.

예탁원의 경직된 조직문화에 적잖은 변화도 암시했다.  그는 "고객만족도 평가를 통해 90점 미만 점수를 받은 부서의 팀장에게는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경쟁 위주의 성과체계를 만들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