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인사이드] 보험설계사 인원 감축…생보사·소비자 '울상'
[금융인사이드] 보험설계사 인원 감축…생보사·소비자 '울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유승열 기자] 생명보험사들이 보험설계사 수를 대폭 줄인 데 따른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불완전판매 등으로 피해를 입는 소비자가 늘면서 금융분쟁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물론 보험사들은 설계사 교육비용 증가 등으로 인한 비용부담과 이미지 악화로 고전하고 있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0여년간 생보업계 보험설계사 수는 절반 가까이 줄었다. 1999년 3월 말 24만6193명이었던 생보업계 보험설계사는 지난해 3월 말 16만2687명으로 33.9% 감소했다.

생보업계의 설계사 수가 대폭 준 것은 보험사들이 2000년대 들어 수익성 위주의 경영전략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대졸 설계사, 재무설계 전문가 양성 등을 통해 질적인 성장을 꾀하겠다며 이른바 '보험아줌마'를 대거 정리했다. 2008년 불거진 금융위기 이후 불어닥친 비용절감 바람도 설계사 감소의 원인이 됐다.

생보업계 '빅3'의 경우, 삼성생명은 1999년 3월 말부터 지난해 3월 말까지 설계사 수가 6만222명에서 4만4045명으로 26.8% 줄었고 대한생명은 같은 기간 4만8307명에서 2만4419명으로 49.4% 감소했다. 교보생명 역시 5만5325명에서 2만3332명으로 57.8% 급감했다.

이에 대해 삼성생명 관계자는 "금융위기 당시 비용 효율화를 위해 명예퇴직을 단행해 설계사 인력이 크게 줄었다"고 말했고, 대한생명 측은 "비용절감을 위해 설계사들을 계약직으로 전환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교보생명 관계자도 "설계사들의 명예퇴직과 텔레마케터들의 이직이 전체 설계사 인원 감소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그러나 보험사들의 설계사 인원 감축은 적잖은 부작용을 양산하고 있다. 부실 판매로 중도해지되거나 민원이 발생하는 '불완전판매', 계약 설계사의 이탈로 관리되지 않는 '고아계약', 설계사가 이직하면서 담당하고 있던 고객의 계약을 해약한 뒤 새로 옮긴 회사와 계약을 맺도록 부추기는 '승환계약' 등이 대표적이다.

이같은 부작용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전가돼 금융분쟁도 속출하고 있다. 금감원이 접수한 생보업권 금융분쟁건수는 2000년 상반기 1779건에서 지난해 상반기 5398건으로 303.4% 급증했다.

보험사들도 설계사 인원 감축에 따른 부작용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잇딴 금융분쟁이 회사 이미지를 망치는 것은 물론 비용부담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설계사 인원 감축은 그동안의 투자가 무산되는 것이고, 보험사는 새로운 설계사를 교육하는 데 드는 비용도 감수해야 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력조정으로 설계사가 다른 회사로 옮겨가는 경우 승환계약을 유도해 피해는 소비자에게 돌아간다"며 "보험사 입장에서도 설계사 교육 비용이 낭비되고 보험사 이미지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과 업계는 설계사 이탈에 따른 부실보험계약의 확산을 막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금감원은 2008년 우수인증설계사 제도를 도입하고 선지급수당 관리감독을 강화했다. 업계도 설계사를 위촉·영입할 때 경력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험사간 정보를 공유키로 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보다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서대교 보험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금융감독당국이 보험사를 대상으로 승환계약이나 경유계약 등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모집질서를 어지럽히는 설계사들에 대한 제재도 강화해 보험산업의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