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팩 공모가 논란, 투자구조 오해에서 비롯"
"스팩 공모가 논란, 투자구조 오해에서 비롯"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본시장연구원 "주당장부가치 희석율 공시해야"

[서울파이낸스 박선현 기자] 최근 IPO(기업공개) 시장에서 불거지고 있는 스팩 공모가 고가 산정 논란이 투자구조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3일 '스팩 공모가 산정 논란에 대한 소고'라는 보고서를 통해 "스팩의 공모발행가가 IPO 이전 스폰서를 대상으로 한 사모발행가보다 높은 것은 투자 구조상 당연한 것"이라고 말했다.

스폰서들을 대상으로 한 주식 발행가가 공모가보다 낮긴 하지만, 이것은 스폰서들이 합병 실패시 책임져야하는 위험을 감안하면 당연한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즉, 기업인수 실패의 위험을 부담하고 기업발굴 및 인수 서비스를 일반투자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차원의 보수로 볼 수 있다는 것.

실제, 현재 공모 진행 중인 '대우증권 그린코리아 기업인수목적회사'의 경우 발기인들은 주당 1000원에, 공모 참여자들은 주당 3500원에 주식을 취득했으며 '현대PwC드림투게더스팩' 역시 액면가(100원)의 60배인 6000원에 공모하고, 발기인은 2000원의 가격에 주식을 취득, 고액 공모가 논란을 빚고 있다. 

김 연구원은 "스팩 공모가 산정 논란은 공모주식의 할즐 발행보다는 일반투자자가 자기 지분의 희석을 통해 기업인수 성공을 조건으로 스폰서에게 지불하는 비용이 적절한지가 쟁점이 되야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주당장부가치 희석율을 공시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스팩 일반투자자는 투자 위험 및 비용을 꼼꼼히 따져서 스팩 공모지분의 가격탐색 과정에서 합리적 투자자로서 기능하고 제도적으로는 주당장부가 희석율 계산이 복잡한 만큼 희석율 공시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의 스팩 투자가 경영진과 일반투자자간의 건설적 갈등관계를 토대로 미국 자본시장에서 꽃을 피웠다는 점에서 한국형 스팩 투자의 발전이 경영진과 일반투자자 등 시장참여자의 역량 강화를 통해 담보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